공정위, 현대차에 18일 제재조치

입력 2007-01-16 16:48수정 2007-01-16 17: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파업·정몽구 회장 실형 구형도 모자라 '엎친데 덮친격'

현대ㆍ기아차 그룹의 행보가 연초부터 절뚝거리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현대차 노조와 사측의 갈등이 15일과 17일 부분파업이라는 결과로 이어져 정ㆍ재계 및 사회단체들로부터 많은 걱정을 끼치게 하고 있다.

또 16일 검찰이 정몽구 회장에 대해 비자금 조성 및 공금횡령 등의 혐의로 징역 6년을 구형함에 따라 자칫 '현대차號'의 선장이 부재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마저 제기되는 등 악재가 끊이지 않고 겹치고 있다.

이미 지난해부터 내수부진으로 인한 경기침체와 환율하락 등 내외부적으로 경영상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대ㆍ기아차 그룹의 입장에서 연초부터 잇따르는 대형 사건 들은 임직원들의 사기마저 꺾고 있다.

현대차의 한 직원은 "현대차의 현재 상황에서 정 회장의 리더십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선고공판에서 법원의 선처가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현대ㆍ기아차그룹은 다른 그룹보다도 오너인 정 회장의 영향력이 매우 큰 곳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정 회장의 공백은 작게는 현대ㆍ기아차그룹의 경영난을 불러 일으킬 뿐만 아니라 국가경제에 많은 비중을 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올 한해 한국경제에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대차의 악재는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8일 현대자동차의 시장지배적지위남용행위 등에 대해 제재를 내릴 방침이다.

이미 지난 해부터 현대차 부당내부거래혐의 등에 대해 조사를 진행한 공정위는 17일 전원회의에서 이 문제에 대한 제제수위를 결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의 국가경제에 기여한 공로가 큰 것은 사실이다"며 "하지만 정 회장 개인의 비리 문제는 엄정하게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ㆍ기아차 그룹은 국가경제를 염려하면서까지 정 회장의 선처를 바라는 것도 중요하지만 최악의 사태도 대비해야 하는 현명함이 요구된다.

법원에서 정 회장에게 집행유예가 아닌 실형을 선고해 정 회장의 공백을 피할 수 없다면 최고경영진들이 힘을 모아 난국을 헤쳐나갈 수 있는 방법까지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 지금이 아닌 가 싶다.

이렇게 돼야 현대ㆍ기아차그룹이 개인 회사가 아닌 진정한 '글로벌 Top 5' 자동차 회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