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국가적 현안에 어긋난 상술…공포 마케팅 주의보

입력 2015-06-02 11: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메르스

중동호흡기증후군(이하 메르스)으로 인해 2명의 사망자가 나오고 3차 감염으로 사태가 확산되면서 이를 이용한 갖가지 상술이 퍼지고 있어 소비자 주의보가 내려졌다.

2일 관련업계와 보건 당국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20일 첫 메르스 감염자가 확인된 이후 사망자와 3차 감염자가 확산된 가운데 경보 수준 '주의'를 유지하고 있다. 주의는 신종 전염병이 발생했지만, 본격적 확산으로 넘어가진 않아 부처별 협력 체제로 관리할 수 있다는 뜻이다.

주의보다 높은 경보 수준은 '경계'와 '심각'이 있다. 경계는 전염병의 확산이 더 심각해져 범부처 대응 체제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온라인에서는 메르스와 관련한 갖가지 괴담이 이어지면서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은 전날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관련 유언비어 2건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은 지난 20일부터 메르스 관련 유언비어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와 함께 메르스에 대한 우려를 이용한 갖가지 상술도 불거지고 있다. 이른바 공포 마케팅이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마스크 착용과 단순한 손씻기로 "메르스를 예방할 수 없다"며 갖가지 특수마스크와 손세정제가 상품으로 올라와 있다. 이들은 "의료진들만 사용하는 특수한 재질과 효과를 지녔다"며 입증되지 않은 마스크를 1개당 3만원 안팎에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아가 중동지역에서 수입한 손세정제는 350ml 기준 10만원 안팎에 팔리고 있다. 그나마 물건이 없어서 팔지 못한다는 근거없는 광고문구까지 앞세우고 있다.

메르스 확산세가 커지면서 우려가 커진 소비자들은 단순하게 중동 현지 문자와 광고문구가 적힌 제품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지에서 바이러스 예방에 효과를 냈다'는 입증되지 않는 선전문구 탓에 일부 소비자가 피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은 관계자는 "국가적인 주요 현안을 앞에 두고 불거진 어긋난 상술"이라며 "감염병에 대한 우려를 이용한 전형적인 테러(공포) 마케팅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