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현장실습과 인턴십 등 일 경험 프로그램 운영과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대학생 인턴의 절반 이상이 단순반복이나 보조업무에 내몰렸고, 10명 중 4명은 제대로 급여도 받지 못하고 있었다.
고용노동부는 28일 관계부처, 노동계, 경영계, 학계 등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제1차 청년고용 대책협의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청년의 일 경험 참여 실태 및 만족도 조사 결과’ 를 공개했다.
일 경험 프로그램은 대학과 기업이 연계해 대학생들이 기업 현장에서 일정 기간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국의 ‘일 경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15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참여 대학생의52.4%가 회의준비 등 ‘단순 반복’ 업무나 ‘보조’ 업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직원 수준의 실무 경험을 한 참여자는 30.9%에 그쳤다.
업무를 배정하는 방식도 본인의 희망과 달리 ‘기업에서 임의로 부여’하는 경우가 46.7%나 됐다.
일 경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실습생’ 대우를 받았다는 답변이 56.4%로 과반을 넘었으며, ‘단순 업무 보조인원’(18.6%)이라는 답변이 그 뒤를 이었다.
근로조건도 열악했다. 참여자의 40%가 무급으로 일 경험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근로계약서 협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도 35.6%에 이르렀다. 야간 혹은 주말 근무 경험이 있는 참여자들도 27.5%에 달했으며 22.7%는 정해진 근무시간이 지켜지지 않았다고 답했다.
때문에 일 경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만족도도 낮았다. 응답자의 47.8%가 현행 프로그램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참여자의 80.7%는 일 경험 프로그램에 제도적 보호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구체적인 보호 장치로는 '정부의 표준 가이드라인'(49.1%)을 가장 많이 꼽았다. 보호 장치가 필요한 영역으로는 '급여'(61.9%), '불합리한 차별'(22.9%) 등이 제시됐다.
프로그램 참여기업의 인사 담당자 3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서는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체계화된 사전교육'(31.3%), '정부ㆍ대학ㆍ기업의 상호협력 강화'(25.1%) 등이 꼽혔다.
프로그램 운영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참여기업 섭외(17.3%)’으로, 정부의 제도적 보호 뿐 아니라, 기업 참여 활성화 역시 주요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번 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청년의 ‘일 경험’ 프로그램을 내실화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각 부처와 지자체에서 운영중인 인턴 사업 등을 재정비하고 직무경험 중심의 ‘체험형’과 정규직 채용으로 연결하는 ‘취업연계형’으로 나눠 지원키로 했다. 또 근로조건 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고영선 고용부 차관은 “청년고용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 현장의 두 축인 노사의 참여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협의회를 시작으로 '청년고용 절벽' 우려를 타개하고 일자리 희망을 줄 수 있도록 모든 분야에서 제도 개선을 꾀하고 대화와 협력의 분위기가 다시 살아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