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은퇴연구소 ‘향후 10년 퇴직연금시장 5가지 트렌드’ 분석

입력 2015-05-27 10: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사적연금 활성화 대책 이후 나타날 퇴직연금시장의 5가지 트렌드에 대해 분석한 ‘은퇴리포트 19호’를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지난해 8월 정부가 발표한 ‘사적연금 활성화 대책’과 고령화·저금리·저성장 등 사회경제적 환경을 바탕으로 2024년까지 향후 10년간 퇴직연금시장 규모와 트렌드 변화, 향후 과제 등이 제시됐다.

우선 퇴직연금 적립금이 지난해 말 기준 107조원에서 2024년 430조원으로 4배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같은 기간 GDP 대비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7%에서 22% 수준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퇴직연금 의무화의 영향으로 중소기업 퇴직연금 적립금이 지난해 51조원에서 2024년 199조원으로 약 290% 증가할 것이라는 추정도 담겼다. 근로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퇴직연금 도입률은 현재 16%에 불과하지만 2024년에는 59%로 높아질 것이라는 점이 반영됐다.

임금상승률확정급여형(DC형) 적립금이 지난해 31조원에서 2024년 275조원으로 9배 가까이 급증하는 반면, 확정기여형(DB)형은 76조원에서 155조원으로 100% 증가에 그치며 트렌드가 변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본격적으로 퇴직연금을 도입할 중소기업이 DB형보다 DC형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DB형 운영기준 강화 등으로 DC형 전환에 더욱 가속이 붙으면서 2019년에는 DC형 규모가 DB형을 추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외에도 연금수령이 가능한 55세에 도달하는 상용근로자가 향후 10년간 210만 명에 달하면서 적립과 인출을 포함한 토털솔루션(Total Solution)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것이라는 점이 제시됐다. 퇴직연금 수익률을 개선하려는 기업과 근로자가 늘면서 투자상품 비중이 증가할 것이라는 점도 변화의 한 축으로 지목됐다.

김경록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소장은 “퇴직연금이 빠진 노후준비를 생각할 수 없는 시대가 됐다”며 “퇴직연금의 양적 성장만이 아니라 질적 혁신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