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 中 진출 더 쉽게”…중국 지방정부와 경제통상협력 고삐 죈다

입력 2015-05-20 17:20수정 2015-05-21 10: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부-쓰촨성 경제통상협력 MOU 체결…장관급 협의체 신설

정부가 우리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중국 지방정부와의 경제통상협력을 강화한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웨이홍 중국 쓰촨성 성장과 21일 쓰촨성 성도에서 산업부-쓰촨성 간 ‘경제통상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장관급 협의체를 신설하기로 했다고 산업부가 밝혔다.

중국 지방정부와 협력 채널을 만든 것은 2010년 광동성, 2012년 산시성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우리나라는 앞으로 쓰촨성과 경제ㆍ통상ㆍ산업ㆍ에너지 분야에서 포괄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자원개발 특성화대학 인력교류(에너지) △쓰촨성 10대 선도산업 및 5대 첨단성장산업과 한국 13대 산업엔진 연계(산업) △일대일로 정책 대응(경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협력(통상) 등이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우리나라가 중국 지방정부와 공식 협력채널을 강화한 것은 중국이 구조개혁에서 경제성장으로 정책방향을 선회하고 지방정부가 투자를 늘리는 추세에 발맞춘 결과로 분석된다.

쓰촨성은 중국의 신경제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ㆍ해상 실크로드) 전략의 핵심 지역이다. 또 서부대개발의 중심지로 우리나라와의 교역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중국 중서부 내수시장 진출의 거점으로도 꼽힌다. 우리나라와 쓰촨성 간 교역액도 2009년 7억5000만 달러(한화 약 8222억원)에서 지난해 30억8000만 달러로 4배 이상 급증했다.

또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경제구조나 성장 패턴이 바뀌면서 수출에 타격을 받는 측면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데 따른 대응이기도 하다. 중국이 가공무역으로부터 탈피를 선언해 중간재 무역이 약화되면서 우리나라의 수출에 먹구름이 끼게 된 만큼 중국 현지 시장의 밀착도를 강화해 수출 구조를 중간재에서 소비재 및 완제품 중심으로 바꿔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것이다.

특히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쓰촨성의 교역, 산업, 협력이 확대됨은 물론, FTA 네트워크를 활용한 투자도 활성화될 것으로 산업부는 기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정부는 계속해서 중국 중앙정부와의 협력채널을 운영하고 지역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해 우리 기업이 중국시장에 원활하게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