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5월 13일 春宵苦短(춘소고단) 아름다운 봄밤은 짧기만 하네

입력 2015-05-13 11: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임철순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소동파는 시 ‘춘야’(春夜)에서 ‘춘소일각치천금(春宵一刻値千金)’, 봄밤의 한 시각은 천금의 가치가 있다고 했다. 맑고 시원하다는 청상(淸爽)이 딱 어울린다. 그런데 너무도 짧다. 짧아서 봄이 가는 게 더 아쉽다.

‘앞산에 꽃이 지누나 봄이 가누나/해마다 저 산에 꽃 피고 지는 일/저 산 일인 줄만 알았더니/그대 보내고 돌아서며/내 일인 줄도 인자는 알겠네.’ 김용택의 시 ‘일’이다. 봄을 보내는 것은 계절과의 작별이면서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이다.

당 시인 왕유(王維·699~761)는 ‘송춘사’(送春詞)에서 이렇게 읊었다. “날마다 사람은 하릴없이 늙어가건만/봄은 해마다 다시 돌아오네/술통에 술 있으니 서로 즐기세/꽃 날린다고 애석해해 봐야 별 수 없다네.”[日日人空老 年年春更歸 相歡有尊酒 不用惜花飛]

고려 문신 이규보(李奎報·1168~1941)의 ‘도중에 눈을 만나 안화사까지 걸어가 당사에게 올리다’[路中遇雪 行至安和寺呈幢師] 3수 중 마지막 수는 이렇다. “봄을 한 번 보내고 만회할 길 없어/지금도 쓸쓸히 바라보며 남은 슬픔 안고 있는데/하늘이 은근한 나의 뜻을 애석히 여겨/꽃철 아닌 이때 일부러 눈꽃을 내려주시네.”[一送春歸未挽廻 至今悵望抱餘哀 天公惜我殷勤意 故遣狂花律外開]

조선 후기의 문신 권상하(權尙夏·1641~1721)의 ‘사월 초하룻날 황려(黃驪)로 가는 계문을 보내며’[四月初吉 送季文之黃驪]도 읽어 보자. “오늘은 그대를 보내고/어제는 겨우 봄을 보냈네/봄을 보낸 것도 애석하거늘/어찌 차마 또다시 사람을 보낼꼬.”[今日送君去 昨日纔送春 送春尙可惜 那堪復送人] 황려는 여주의 옛 이름이다. 봄을 보낸 날을 특정할 수는 없지만 4월 초길(初吉)은 여름의 시작인 맹하의 첫날이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오늘은 음력 3월 25일. 봄은 오늘까지 닷새가 남은 셈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