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5월 6일 鑽燧改火(찬수개화) 철이 달라질 때마다 불을 바꿈

입력 2015-05-06 10: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고대에는 나무를 마찰시켜 불을 얻었다. 논어 양화(陽貨) 편에 “부시나무를 마찰시켜 불을 바꾼다”고 나오는데, 이게 찬수개화(鑽燧改火)다. 줄여서 개수(改燧)라고 쓴다. ‘부시로 사용하는 나무’[木燧]는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원리에 맞춰 계절에 따라 바꾸었다. 봄의 빛깔은 청색이므로 푸른빛을 띠는 버드나무 판에 구멍을 내고 느릅나무 막대기로 비벼 불씨를 일으켰다. 여름은 적색이므로 붉은 살구나무 판에 대추나무, 가을은 백색이므로 하얀 참나무 판에 산유자나무, 겨울은 흑색이므로 검은 박달나무 판에 느티나무를 사용했다.

부엌의 불씨를 꺼뜨리면 절대로 안 되는데도 절기마다 불을 바꾼 이유는 오래 그대로 쓰면 불꽃에 양기(陽氣)가 지나쳐 돌림병의 원인이 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불은 소중한 것이어서 나라가 직접 관리했다. 태종 6년(1406)에 시행된 개화령(改火令)은 성종 2년(1471)에 더 강화돼 궁궐의 병조(兵曹)에서 국화(國火)를 만들어 한성부로 내려 보내고, 고을마다 같은 방식으로 집마다 나누어주되 어기는 자는 벌을 주게 했다.

개화를 하는 날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 등 매년 사시(四時)의 입절일(立節日)과 계하(季夏)의 토왕일(土旺日·입추 전 18일간)이다. 오늘이 바로 새로 불을 만드는 입하, 여름이 시작되는 날이다.

고종실록 1년(1864)에 “3월 30일(그때는 이날이 입하였나 보다) 경오일 신시 3각에 입하에 대한 개화를 올릴 때 종묘서 사직서 영희전 영녕전 효문전 경모궁 육상궁 선희전 경호궁 경수궁에는 전례대로 개화하고, 규장각 의정부 승정원 한성부에는 똑같이 불을 나누어 주겠습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왕이 알았다고 전교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렇게 중시했던 찬수개화도 조선왕조가 망하면서 없어졌다. 지금 우리 가정에 불만큼 중요한 게 뭘까 생각해 본다. fusedtree@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