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잇단 "사회개혁" 언급…성완종 파문 정면돌파 의지(?)

입력 2015-04-22 21: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근혜 대통령이 중남미 4개국 순방 중 잇따라 ‘사회 개혁’을 언급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세번째 방문국인 칠레에 도착한 박 대통령은 21일(이하 현지시간) 동포 간담회를 갖고 “정부는 현재 우리 사회에 남아있는 여러 적폐를 해결하면서 국가경쟁력을 높여가고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사회 개혁에 박차를 가해 반드시 경제재도약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19일 페루 동포 간담회에서도 “우리 사회의 적폐 해소와사회적 개혁에 박차를 가해 경제 재도약을 반드시 이루고 희망의 새시대를 열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이러한 발언은 국정의 최고책임자로서 국정 현안에 대한 원론적이고 의례적인 언급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청와대 관계자들 사이에선 순방외교 일정 가운데 동포 간담회가 국내 현안과 관련해 메시지를 전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임을 감안하면 ‘사회 개혁’이란 단어를 사용한 것은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박 대통령이 이처럼 사회 개혁의 메시지를 내놓은 것은 성완종 리스트 파문 등 국내 정치 상황과 무관치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박 대통령은 이 총리의 사의표명을 보고받은 뒤 “검찰은 정치개혁 차원에서 확실히 수사해 모든 것을 명백히 밝혀내 주기 바란다”며 성완종 파문을 정치개혁 차원에서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강조한 바 있다.

따라서 박 대통령이 중남미 동포간담회에서 사회 개혁이란 단어를 사용한 것도 기존에 언급한 ‘혁신’의 수준을 넘어, 정치개혁을 포함해 사회 전반에 개혁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의중을 은연중 드러낸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여기에는 성완종 파문으로 여론이 눈에 띄고 악화되고 국정의 동력마저 떨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여권 내에 팽배한 가운데 개혁이라는 강도 높은 단어의 선택을 통해 국정과제 추진의 고삐를 놓지 않겠다는 뜻을 반영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