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서비스업도 양극화…중소기업·대기업 간 격차 최대

입력 2015-04-14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서비스업 활성화 대책 발표했지만 효과는 대기업에만 집중

서비스업생산지수가 전월 대비 1.6% 상승 가운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지수 격차는 관련 통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가 서비스업 활성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그 떡고물은 오롯이 대기업의 경쟁력 강화에만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기업에만 초점을 맞춘 대책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격차만 더욱 확대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2월 서비스업생산지수는 전월 대비 1.6% 증가하며 2012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1월에 생산지수가 -0.6%를 기록하는 등 크게 하락한 이후 도소매와 금융·보험업 등의 호조에 힘입어 크게 상승한 것이다.

서비스업생산지수는 국내 서비스업 부문의 활동을 지수화한 것으로 서비스업 부문의 경기 동향을 판단하는 데 활용되는 지표이다.

이처럼 서비스업생산지수는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는 관련 통계를 시작한 2010년 이후 최대치를 보였다.

1월 기업규모별 서비스업생산지수를 보면 대기업은 111.5, 중소기업은 103.5를 기록하며 8포인트의 차이를 보였다. 이 격차는 2월에 더욱 벌어져 대기업은 109.5, 중소기업은 101.3을 기록하며 8.2포인트의 차이를 나타냈다.

지난해 평균적으로 3~4포인트의 격차를 보인 것과 비교하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는 올해 들어 더욱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설 명절로 인해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진 효과와 가계대출이 올해 초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은행기관 등이 대기업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최근 5년간 설 연휴가 낀 1~2월 서비스업생산지수 격차와 비교하더라도 그 격차는 올해 더욱 벌어졌다. 최근 5년간 격차를 보면, 2010년 1~2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는 평균 0.8포인트에 불과했으며 2011년에는 2.8, 2012년은 5.4, 2013년 6.5, 2014년 4.5의 격차를 보였다. 격차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올해 증가세는 더욱 가파른 모습이다. 가계대출 증가액 추이도 저금리 기조로 인해 전년과 비교해 올해 크게 늘었지만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하면 오히려 감소세를 보였다.

문제는 정부의 대기업 중심 서비스업 활성화 대책으로 인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이 같은 격차가 앞으로 점점 더 벌어 질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가 지난 1월 발표한 관광인프라 및 기업혁신 투자 활성화 대책을 보면 호텔, 면세점, 복합리조트 등 주로 대기업이 진출한 서비스업의 활성화에만 초점을 맞췄다.

실제 세부계획에 따르면 2017년까지 호텔 5000실을 추가로 공급하고 서울 3곳, 제주 1곳 등 시내면세점 4곳 신설한다. 서울의 시내면제점 신규 개설은 2000년 이후 15년 만에 처음이다. 아울러 카지노 등이 포함된 복합리조트에는 외국인 자본뿐 아니라 내국인 자본도 유입될 수 있도록 했다.

전성인 홍익대 교수는“최근 정부가 발표한 서비스업 활성화 대책 등이 주로 대기업에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데 초점을 맞춰 우려스럽다”면서 “중소 서비스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대책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