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 확대한다는 데" … 깊어지는 은행의 한숨

입력 2015-04-03 10: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위, 정책금융 긴급 회의 상품 설계 논의…“대출수요 많지만 연체율 커”

은행들이 정부의 서민금융 확대 방침에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가뜩이나 저금리와 내수침체로 수익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부실 위험이 높은 서민금융을 확대하기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오전 금융위원회는 서민금융 유관기관을 긴급소집하는 간담회를 가졌다. 서민금융 지원 정책을 마련하기 앞서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들어보기 위한 것이다. 금융위는 각 기관들에게 서민금융 정책 방향과 상품설계에 대한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정부의 서민금융 확대 움직임에 은행권은 달갑지 않은 표정이다. 현재 불가피해 서민금융 상품을 판매하고 있지만 부실이 발생할 경우 은행이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새희망홀씨의 경우 은행을 통해 판매 되는 서민금융 상품이다. 저소득·저신용자 지원을 위한 은행권 공동상품으로 연소득 4000만원 이하가 대출 대상이다. 금리는 최고 12%로 2000만원까지 신용대출이 가능하다. 지난해 새희망홀씨 취급액은 1조9559억원(18만130명)으로 연간 목표액이 1조8200억원이 초과 달성했다.

저리의 신용대출 조건이다 보니, 대출 수요가 많지만 연체율이 높아 은행 입장에선 계륵과 같은 상품이다. 해마다 연체율은 꾸준히 늘어 2012년말 2.4%, 2013년말 2.6%에 이어 지난해 3%를 넘었다. 연체가 되면 충당금을 쌓아야 하는 은행으로서는 부담이 클 수 밖다.

은행이 판매하고 있는 서민금융은 새희망홀씨 이외에도 중금리 신용대출, 개인프리워크아웃, 주택담보프리워크아웃, 적격전환대출 등이 있다. 은행권은 이 상품 판매를 위한 홍보나 마케팅에는 소극적이다.

A은행 부행장은 “서민금융 상품은 부실률이 높아 충당금 부담이 일반 대출상품보다 높다”며“이로 인한 손실로 은행 입장선 마지못해 판매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은행의 공공재적 성격에 부합하는 상품이지만, 은행도 수익을 내야 하기 때문에 취급을 꺼려질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