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 상품·허위 주문 등 부적절한 관행 잡아라” 압박
중국 정부가 전자상거래시장의 고삐를 죄면서 알리바바그룹홀딩 등 업계가 받는 압박이 더욱 커질 전망이라고 1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중국 상무부는 전날 성명에서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짝퉁 상품이나 허위 주문으로 검색 순위를 높이는 등 부적절한 관행을 잡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 상무부가 추진하는 관련 법률 초안에 따르면 업계가 이런 관행과 관련된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면 최대 50만 위안(약 8900만원)에 이르는 벌금을 내야 한다.
지난 수개월간 중국 정부는 전자상거래업체들이 짝퉁 상품 판매나 기타 비윤리적인 관행을 단속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여왔다. 또 정부는 연말 전에 전자상거래 법률 초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타오바오에 입점한 업체만 800만개가 넘는다. 새 규정은 이들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엘리노어 렁 크레딧리요네증권(CLSA) 애널리스트는 “중국시장이 진정한 소비시장으로 거듭 나기 위해서는 어차피 이런 과정을 거쳐야 하며 아무도 피할 수 없다. 알리바바도 예외는 아니다”라며 “이런 움직임은 중국 전자상거래시장을 좀 더 지속가능하게 만들 것”이라고 낙관했다.
알리바바 대변인은 “우리는 중국 법과 규정을 따르고 있다”며 “전자상거래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증진시키려는 정부의 노력을 지원한다”고 말했다.
알리바바는 최근 온라인장터인 타오바오와 티몰에서 불법적인 관행을 뿌리뽑는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대형 브랜드가 많이 입점해 있는 티몰은 인기 카테고리에서 브랜드를 보유한 업체와 이들이 인정한 재판매업체에만 상점 개설을 허용하는 새 정책을 실시하기 시작했다. 화장품과 구두 핸드백 의류 스포츠 등이 이에 해당된다. 회사는 이와 관련해 승인을 받은 5000여 브랜드 리스트도 공개했다. 또 가정용품 등에서도 브랜드 제품 판매 승인을 받을 것을 촉구하고 있다.
효과는 바로 나타나고 있다. WSJ에 따르면 라네즈는 지난 1월 제품 판매 중 자신이 직접 판매하는 비율이 88%였으나 지난달 100%로 커졌다. 랑콤이 55%에서 93%로, SK-Ⅱ가 5%에서 70%로 각각 높아졌다. 그만큼 짝퉁 제품이 들어설 여지가 좁아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