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임금개편안 내달로 연기 ‘진통’… 통상임금 이견차 여전

입력 2015-03-30 15: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다음달 2일 5차 본회의 개최, 개편 최종안 도출 ‘회의적’

현대자동차가 이달로 예정됐던 임금체계 개편안을 내달로 연기했다. 노사는 다음달 2일 본회를 통해 최종 개편안을 내놓을 방침이지만 ‘통상임금’에 대한 시각차가 여전해 합의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30일 현대차 관계자에 따르면 이달 결정될 예정이었던 임금체계 개편안이 다음달로 연기됐다. 윤갑한 현대차 노무담당 사장과 이경훈 노조위원장(지부장) 등 노사 대표 교섭위원들은 내달 2일 임금체계 및 통상임금 개선위원회 5차 본회의를 열고, 최종안을 도출하기로 했다. 당초 임금개편 위원회 활동 및 합의 시한은 이달 말까지다.

현대차 관계자는 “임금개편 시한이 이달 31일까지였지만, 내달 2일 전후로 연기됐다”며 “2일도 예정일 뿐 정확치는 않다”고 말했다.

임금체계 개편안이 연기된 이유는 통상임금에 대한 노사의 시각차 때문이다. 지난 1월 법원은 현대차의 정기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하지만 현대차 노조는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통상임금을 확대해 과거 미지급분을 지급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임금체계 개편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통상 임금 확대 문제와 관련해 법원의 판결을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윤여철 현대차 노무담당 부회장은 최근 기자와 만나 “노조가 통상임금 확대 적용을 요구하고 있지만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고 명확히 선을 그었다. 지난해 임금협상에서 통상임금 확대 문제는 소송 결과에 따르기로 한 만큼 중장기적인 임금체계 개편 논의가 먼저라는 것.

이어 윤 부회장은 “우리는 (통상임금) 법원판결에서 이겼다”며 “(통상임금 확대)는 임금 협상 시 대상이 아니고 협상 자리에서도 이를 충분히 설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현대차는 지난해 11월 임금체계개선위원회를 발족 지금까지 4차레 회의를 열었다. 노사는 외부 전문가 4명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구성 유럽과 일본 등 선진 업체를 방문해 임금체계 개선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기도 했다.

자문위는 이를 바탕으로 지난 20일 4차 본회의 에서 현대차 임금체계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서를 노사 양측에 전달했다. 임금체계 개선 과정에서 조합원의 임금 저하를 막고 동시에 회사의 추가적인 인건비 부담을 방지하는 선에서 △비용 중립성을 구현 △수당 단순화 △숙련급 도입 △산정 기준에 의한 성과배분제 도입 등 4가지를 제안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