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빈곤 심화…노후가 두려운 가장이 늘고 있다

입력 2015-03-25 10: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00만원 미만 저소득층 가구주 평균연령 67.5세 ‘역대 최고’…600만원 이상은 1.5년 증가

저소득층 가장의 평균 연령이 갈수록 높아져 지난해에는 관련 통계를 시작한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인구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노후를 제대로 대비하지 못하는 가구가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노인 빈곤율도 함께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월 평균 100만원 미만 소득의 가구주 연령은 지난해 67.5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후 최고치로 2003년 월 평균 100만원 미만 소득 가구주의 연령이 58세인 것과 비교하면 무려 9년이나 늘어난 수치다.

월 평균 100만~200만원 소득의 가구주 연령도 2003년 47.5세에서 꾸준히 늘어나 지난해에는 57.1세로 조사됐다.

반면, 200만~300만원 소득부터는 가구주 연령의 증가폭이 눈에 띄게 줄었다. 200만~300만원 소득의 가구주 연령은 2003년 43.1세를 기록한 뒤 조금씩 늘어 2014년에는 49.2세를 나타냈다. 200만원 미만 소득의 가구주 연령이 평균 10년 증가한 것에 비하면 증가폭이 절반에 불과했다.

이 같은 현상은 소득이 높을수록 뚜렷해져 300만~400만원 소득 가구는 11년 전에 비해 약 4년(42.9세→46.9세), 400만~500만원 소득 가구는 약 3년(43.5세→46.5세), 500만~600만원 소득 가구는 약 2.5년(44.1세→46.6세), 600만원 이상 소득 가구는 약 1.5년(46.5세→48세) 각각 늘었다. 같은 기간 전 소득 계층의 가구주 평균 연령은 45.3세에서 49.9세로 4.6세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의 배경에는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노후를 준비하지 못한 가정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든다.

실제 통계청의 ‘2014 고령자 통계’를 보면 취업 유경험자의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둘 당시 평균 연령은 만 49세로 가구주 평균 연령과 겹친다.

이들이 제대로 노후 준비를 못하고 퇴직함에 따라 가구 소득도 함께 줄고 있는 것이다. 소득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니계수를 보면 근로연령인구(18~65세)의 지니계수는 0.280인 반면 고령인구(65세)의 지니계수는 0.420을 나타냈다. 이 수치는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한 상태를 의미한다. 2006년과 비교하면 근로연령인구의 지니계수는 낮아지고 고령인구의 지니계수는 상승했다.

황수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노후 준비를 제대로 못한 노인도 함께 늘면서 저소득층의 고령화 현상이 심화됐다”고 말했다.

이어 황 연구위원은 “현재 65세가 넘는 고령자들은 은퇴 이후 자신의 삶을 설계하지 못한 세대인 동시에 사회보장 혜택도 제대로 받지 못한 세대”라며 “이들에 대한 사회적·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