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전환대출] 원금상환 능력·중도상환 수수료 꼼꼼히 따지세요

입력 2015-03-24 10: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리인하 추가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기존 주택담보대출을 연 2.6%의 저리 대출로 바꿔탈 수 있는 안심전환대출에 관심이 뜨겁다.

안심전환대출은 변동금리를 적용받거나 원금을 갚지 않고 이자만 내는 주택담보대출을 낮은 고정금리의 장기 분할상환대출로 바꿔주는 대출이다. 특히 낮은 금리와 중도상환수수료 면제, 세제 혜택 등으로 인해 기존 대출자들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안심전환대출로 바꿀 경우 중도상환 수수료와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 등 꼼꼼히 따져보고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우선 금리가 싸다고 자신의 상환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무턱대고 갈아탔다가는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안심전환대출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원금 상환으로, 안심전환대출로 전환한 바로 다음 달부터 원리금 상환이 시작된다. 은행들은 안심전환대출로 갈아탈 경우 대출자들이 매달 부담해야 할 상환액이 1.4~1.8배 늘어난다고 설명한다.

이 때문에 매달 원금을 상환할 능력이 없거나 고정적인 지출에 대한 여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안심전환대출로 전환하는 것을 다시 한 번 고려해 봐야 한다.

기존 주택담보대출에서 안심전환대출로 전환한 이후 다시 거치식 대출상품으로 갈아탄다면 이때는 중도상환수수료를 최대 1.2% 내야 한다. 안심전환대출을 받은 후 3년이 지나기 전 다시 갈아타면 중도상환 수수료가 부과되며, 수수료는 대출을 받은 후 경과한 날짜에 비례해 줄어드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적용된다.

기준금리가 추가로 인하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안심전환대출이 장기 고정금리 상품이다 보니 금리가 더 내려가면 상대적으로 손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하면 안심전환대출 금리가 2% 초반대로 더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소진에 유의하면서 금리 추이를 잘 따져 전환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현명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