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NCS 채용]스펙보다 실력? 취업준비생 혼란 가중

입력 2015-03-24 1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연내 130개 공공기관이 서류전형, 필기, 면접의 채용 과정 중 서류전형과 면접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초로 채용한다.

이는 정부가 구직자의 경우 불필요한 스펙 쌓기로 인한 시간적ㆍ경제적 비용을, 기업의 경우 채용 후 재교육 비용 등을 줄여보자는 취지에서 마련한 것이지만, 벌써 혼란이 가중될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교육부 등 정부와 130개 공공기관은 24일 오후 3시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직무능력중심 채용 MOU 체결식’을 가졌다.

NCS는 학벌이 아닌 능력중심 사회를 만들기 위한 기초시스템으로 정부는 2000년 노사정 합의에 따라 2002년부터 표준개발에 착수했으며 현재 797개 개발을 완료했다.

정부가 삼성직무적성검사(SSAT)와 같이 표준화된 형태의 기준을 민간에 제시하는 방식이다. 공공기관이 선도적으로 직무능력중심 채용에 나선다면 민간 기업도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이라는 취지다.

이미 대기업은 직무능력표준을 갖추고 있어서 중소기업이 채용에서 토익점수나 학점, 해외연수, 성장 배경 등을 두루뭉술하게 물어보지 말고 직무중심 면접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표준을 무료 배포해 적용토록 한다.

하지만 직무능력만으로 평가할 때 같은 점수의 두 지원자가 있다면, 과연 기업에서 스펙을 배제할 수 있느냐 하는 의구심이 제기된다. 결국, 기존 취업 준비에 추가로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도 모든 공공기관의 NCS기반 입사지원서 형식이 똑같지 않다는 점을 설명했다. 경우에 따라 영어가 직무능력일 경우에는 영어가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될 수 있다.

기업 나름의 원하는 인재상과 채용 관행이 있으므로 정부의 직무중심 채용은 권고 사항일 뿐 판단은 공공기관 혹은 기업의 몫으로 남겨진 셈이다.

정부는 노동시장 효율성 차원에서 직무중심으로 가는 것이 맞는다는 입장이지만 구직자들이 한 가지 직무 능력에만 올인해 취업을 준비할 수 없는 현실이기에 다양한 취업 기회를 뺏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NCS에 대해 충분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된다면 혼란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NCS는 직무를 쪼개는데 이 같은 방식이 융복합 지식을 요구하는 시대에 맞지 않으며 빠른 속도로 변하는 현대사회의 추세에 어긋난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NCS가 성공적으로 추진되려면 학력중심사회에서 능력중심사회로 전환될 수 있도록, 교육환경과 고용환경, 사회적 환경이 함께 변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NCS 기반의 교육과 NCS 기반의 능력 중심 채용과 승진, 보수 등이 뒷받침 될 때 정착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NCS 채용 조기 정착을 위해 이를 공공기관 경영평가 등과 연계하거나, 기재부와 협의해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채용이라는 것은 기업의 자율권인데 정부가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없는 것 아니냐”면서 “민간기업에 적용되지 않으면 개발을 위한 개발에 그쳐 예산을 낭비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