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알뜰폰 시장 안정화를 위해 연내 점유율 10%돌파를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출시를 앞두고 있는 삼성전자 갤럭시S6, LG전자 G4 등이 가입자를 흡수할 가능성이 높고, 이동통신 3사가 결합판매를 더욱 강화하는 추세라 점유율 늘리기가 녹록지 않다는 지적이다.
24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 2월말 기준으로 알뜰폰 가입자 수는 485만명으로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수의 8% 정도를 차지한다. 출범 첫해인 2011년 32만명과 비교해 14배 이상 폭발적으로 성장한 셈이다. 지금 추세라면 이달 말에 500만 가입자수를 무난히 돌파할 전망이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노심초사하고 있다. 해외사례를 봤을 때 점유율 10%를 넘기지 못한 상태에서 정부지원이 끊길 경우 고사하는 사례가 많아서다. 이에 정부는 올해를 ‘알뜰폰의 과도기’로 보고 알뜰폰 활성화를 위한 각종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미래부는 우선 다음달 알뜰폰 가격과 요금제를 한눈에 비교해 구입할 수 있는 정부 통합 판매 사이트를 신설한다. 유통채널을 다양화해 고객 접점을 늘리기 위해서다.
또 ‘ICT 정책 해우소’를 개최해 △알뜰폰 전파사용료 감면 3년 연장 △도매대가(음성·데이터) 인하 △알뜰폰 사업자에 유리한 이통사·알뜰폰 사업자 수익배분비 조정 △알뜰폰 LTE서비스 확대를 업계 관계자와 논의하고, 이곳에서 나온 의견을 정책에 십분 반영키로 했다.
하지만 여전히 위험요소가 있다. 통신사의 결합판매 강화와 높은 네트워크 도매대가, 그리고 부족한 유통채널 등이다.
특히 통신사의 결합판매는 소비자를 묶어두는 효과가 있어 알뜰폰 성장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미래부 고위 관계자는 “결합판매는 분명 가계 통신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지만 소비자 선택을 제한하는 요소도 있고, 결합해지에 따른 위약금 부과 등 부정적인 사례도 많다”며 “업계간 상생발전을 위해 어떤식으로든 결합판매를 손 봐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높은 네트워크 도매대가가 알뜰폰의 질주에 태클을 건다는 목소리도 높다. 알뜰폰 업체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의 망을 45% 할인된 가격에 빌려쓰는데, 이 가격이 너무 높아 더욱 저렴한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는 유인이 없다는 것이다.
알뜰폰 업체 관계자는 “알뜰폰 회사들은 수익 가운데 네트워크 도매대가를 지불하고 남은 부분에서 휴대폰 구매비, 마케팅비, 인건비, 관리비를 해결하고 여기에 수익까지 남겨야 한다”며 “알뜰폰이 더욱 알뜰해 지려면 네트워크 도매대가를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