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5/03/600/20150322110516_606249_600_480.jpg)
22일 국토교통부는 2월 주택 인허가 실적은 전국 3만3301호로 전년동월대비 12.1% 증가했고 누계기준으로는 22.6% 증가한 6만6572호라고 밝혔다.
신규 주택시장 호조에 따라 지난해 이후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증가폭은 전월(3만3000호, 전년동월대비 35.2% 증가)대비 다소 둔화됐다.
지역별로 수도권(1만3363호)은 경기(-8.4%)가 감소했지만 서울(51.3%), 인천(11.1%)은 증가해 전년동월대비 8.5% 늘었다.
지방(1만9938호)은 대전(서구)․세종․충남(천안) 등을 중심으로 실적이 증가해 전년동월대비 14.7% 증가했다.
유형별로 아파트는 2만1506호, 아파트 외 주택은 1만1795호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14.2%, 8.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2월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2만5756호로 전년동월대비 1.5% 증가했으며 누계기준으로는 19.2% 증가한 5만5575호로 나타났다.
국토부는인허가 실적 증가에 따라 1월(3만호, 전년동월대비 40.3% 증가)에 이어 착공실적도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별로 수도권(1만4883호)은 서울(-19.2%), 인천(-57.4%)은 줄었지만 경기(148.7%)는 증가해 전년동월대비 57.7% 늘었다.
지방(1만873호)은 울산․충남․전남 등은 늘었지만 부산․대구․경북 등의 실적 감소로 전년동월대비 31.8% 감소했다.
유형별로 아파트는 2만1506호, 아파트 외 주택은 1만1795호로 전년동월 대비 각각 14.2%, 8.4% 증가했다.
아울러 2월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9101호로 전년동월대비 17.5% 감소했지만 누계기준으로는 41.0% 증가한 2만3828호로 집계됐다.
1월(1만5000호, 전년동월대비 151.2% 증가) 큰 폭의 증가 이후, 구정연휴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때문에 구정연휴 종료, 분양시장 성수기 진입에 따라 3월 분양물량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로 수도권(4632호)의 경우 서울(-91.3%)은 크게 줄었으나 인천(12.1%), 경기(122.2%)는 증가해 전년동월대비 29.5% 늘었다. 지방(4238호)은 부산․대구․충북 등에서 실적이 감소하면서 전년동월대비 40.0% 줄었다. 분양주택은 8001호로 전년동월 대비 21.2% 줄었고 임대주택은 1100호로 40.5% 증가했다.
준공실적도 늘었다. 2월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2만8732호로 전년동월대비 1.5% 증가했으며 누계기준으로는 17.9% 증가한 6만2785호로 나타났다.
수도권(1만4070호)은 서울(-17.1%), 인천(-30.4%)이 줄었으나 경기(75.4%)는 증가해 전년동월대비 26.1% 늘었다.
지방(1만4662호)은 세종․경북․경남 등은 증가했지만 부산․대전․전남 등의 실적 감소로 전년동월대비 14.6% 감소했다. 유형별로 아파트는 1만6788호로 전년동월 대비 10.9% 줄었고 아파트 외 주택은 1만1944호로 26.1%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