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년간 서울에서 산행 중 사망한 등산객은 총 63명이며, 남성 사망자 비율이 90.5%로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 3년간 산악사고 사망자 63명 분석 자료’를 20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심장질환 등 개인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사망자 63명 중 19명(30.2%)으로 가장 많은 가운데 실족·추락이 17명(26.9%)으로 그 뒤를 이었다. 그 다음은 자살기도 11명(17.5%), 조난 및 암벽등반 각 1명(1.6%)의 순이었다.
연령대별로는 51∼60세가 23명(36.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61∼70세 16명(25.4%), 41∼50세 13명(20.6%) 등이었다.
남성 사망자 비율은 90.5%로 여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산별로는 북한산이 20명(31.75%)으로 사망사고가 가장 많았고 관악산 12명(19.05%), 수락산 8명(12.7%), 청계산·도봉산이 각 7명(각 11.1%)으로 뒤를 이었다.
사망사고는 등산객이 몰리는 토요일과 일요일의 비율이 50.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서울에서는 총 1572건의 산악사고가 발생,이 중 1309명이 119구조대에 의해 구조됐다. 실족·추락이 사고 원인의 46.1%를 차지했다.
소방재난본부는 “등산로를 벗어난 무리한 산행이 실족이나 추락으로 인한 사고를 부를 수 있다”며 “봄을 맞아 등산을 계획하는 시민들은 안전 수칙을 유념하고 산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