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3월 17일 擲果盈車(척과영거) 수레가 가득 찰 만큼 과일을 던지다

입력 2015-03-17 11: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중국 역사상 최고 미남은 서진(西晉)의 문인 반악(潘岳·247~300)이라고 한다. 그는 재모쌍전(才貌雙全)의 인재였다. 위진남북조 시대 명사들의 언행과 일화를 담은 ‘세설신어’(世說新語)에 따르면 반악이 나타나면 수많은 여인들이 자기를 보게 하려고 앞다퉈 수레에 과일을 던졌다고 한다. 척과영거(擲果盈車)의 유래다. 반악은 반안(潘安)이라고도 한다. 척과반안(擲果潘安)도 같은 뜻이다.

그의 라이벌은 삼국지에 나오는 육손의 손자 육기(陸機·260~303)였다. 둘을 뭉뚱그려 반육(潘陸)이라고 부른다. 육재여해(陸才如海) 반재여강(潘才如江), “육기의 재능은 바다와 같고 반악의 재능은 강과 같다”는 말도 있다. 육기가 낫다는 뜻일까. ‘세설신어’에는 이런 이야기도 나온다. 육기가 여러 사람과 함께 앉아 있는데 반악이 들어오자 일어나 나가 버렸다. 반악이 “맑은 바람이 불어오니 먼지가 날려가는구먼” 하자 육기가 곧바로 “뭇 새가 날아드니 봉황이 날아오르는 것이지” 하고 받아쳤다. 멋진 응수였다.

조조의 양아들 하안(何晏)도 대단한 미남이었나 보다. 그는 걷는 동안에도 그림자가 멋지게 보이도록 수시로 자세를 바꿨다. 조조의 손자인 위(魏)의 2대 황제 조예가 하안의 민얼굴이 정말 새하얀지 알고 싶어 한여름에 펄펄 끓는 탕면을 먹게 했는데, 흐르는 땀을 소매로 닦아내자 얼굴이 더욱 밝고 환해졌다고 한다.

반악과 다툴 만한 미남자 위개(衛?)는 허망하게 죽었다. 구슬이나 옥 같다 해서 벽인(璧人)으로 불렸는데, 그를 보면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들었다. 팬들이 겹겹이 에워싸고 함께 뛰고 걷자 놀라고 지친 위개는 결국 기절해 숨졌다. 보는 것만으로 위개를 죽였다는 간살위개(看殺衛?)의 유래다.

반악도 위개도 오래 살지 못한 걸 보면 하늘은 재모와 수명을 함께 내려주지 않는 것 같다. fusedtree@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