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회 폐막’ 중국, 올해 7% 성장도 어려워…추가 경기부양책 내놓는다

입력 2015-03-16 07:54수정 2015-03-16 10: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리커창 총리 “경기둔화, 고용과 국민소득 저해하면 행동 나설 것”…추가 금리 인하 기대 커져

▲리커창 중국 총리가 15일(현지시간)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폐막식을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베이징/신화뉴시스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15일(현지시간) 오전 의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폐막식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이날 전인대 폐막식을 마치고 가진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올해 7% 경제성장률 목표 달성도 쉽지 않다고 토로하고 경기둔화가 심화하면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혀 추가 경기부양책 가능성을 시사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그는 “우리는 외형적으로 성장률 목표를 낮췄지만 중국 경제는 상당히 큰 하강압력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이를 달성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며 “또 중국 국내총생산(GDP)은 10조 달러가 넘었기 때문에 7% 성장은 매년 중진국이 하나 새롭게 탄생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리 총리는 “우리는 경기둔화가 고용시장과 국민소득에 타격을 입히면 경제를 지원할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됐다”며 “우리는 연장통에 더 많은 도구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최근 수년간 경기둔화에도 대규모 부양책을 자제했기 때문에 추가 행동을 취할 여력이 있다”며 “아직까지 그런 계획은 가정에 불과하나 경기하강 압력이 지속되면 실행에 옮길 수 있다”고 역설했다.

중국은 지난해 실제 성장률이 7.4%로 2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정부는 올해 성장률 목표를 지난해의 7.5%에서 7.0%로 낮추며 ‘신창타이(뉴노멀)’에 적응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고 있다.

리 총리가 뉴노멀을 강조하면서도 경기둔화 심화를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추가 경기부양책 기대가 커지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이르면 오는 2분기에 1~2차례의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하고 은행 지급준비율(지준율) 추가 인하에도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고용시장이 경기부양 확대의 핵심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올해 도시 일자리 1000만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목표가 흔들릴 조짐을 보이면 정부가 바로 행동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리 총리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고용시장 안정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지난해는 1300만개가 넘는 일자리가 생겼다.

한편 부동산시장과 관련해 리 총리는 “중국의 도시화 속도는 빠르고 주택수요는 실수요에 기반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이고 건전한 부동산 시장 성장을 유지할 것”이라며 “사람들이 주거와 삶의 질 향상 목적으로 집을 사는 것을 장려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