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MWC 2015서 ‘주파수 대전’ 벌인다

입력 2015-02-25 17: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SKT 늘리고·KT 합치고·LGU+ 높이고

▲25일 SK텔레콤과 노키아의 구성원들이 기존 대비 기지국과 단말의 안테나 수를 2배 늘려 최대 600Mbps의 데이터 속도를 내는 '4X4 MIMO'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SK텔레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5세대(5G) 이동통신 구현을 위해 축적한 각종 기술을 2일부터 5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015’에서 모두 쏟아낸다는 각오다.

이통 3사는 25일 각각 자료를 내고 MWC2015에서 선보일 신기술들을 전격 공개하며 전면전을 선포하고 나섰다.

◇SKT, 동일 주파수·속도는 2배 = SK텔레콤은 기존에 쓰던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2배 이상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선보인다.

노키아와 함께 개발한 이 기술의 비밀은 안테나에 있다. 현재 LTE는 단말기간 송·수신에 각각 2개의 안테나를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각각 4개의 안테나를 활용하게 되면 기존 주파수 대역 안에서도 다운로드 속도를 기존 보다 2배 빠른 150Mbps의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양사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단일 광대역 LTE 주파수에서 4X4 MIMO기술을 적용해 기존 대비 2배의 속도인 300Mbps를 구현한 뒤, 2개의 광대역 주파수를 묶는(CA) 방식으로 600Mbps시연에 성공한 것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묶는 기술인 CA의 경우 1차선 도로 2개를 합쳐 2차선 도로처럼 활용하는 방식이라면, 이번에 개발한 안테나 기술은 기존의 도로 위에 같은 크기의 고가도로를 추가로 건설하는 방식으로 볼수 있다”고 설명했다.

◇KT “LTE+와이파이=LTE-H”… 망융합 기술 선봬 = KT는 성격이 다른 통신망인 LTE와 WiFi(와이파이)를 병합한 기술인 이른바 ‘LTE-H(HetNet)’를 MWC2015에서 시연한다.

KT가 삼성전자·퀄컴과 공동으로 개발한 이 기술은 4G와 5G 망의 융합을 위한 핵심이라는 평가다.

특히 LTE-H는 기존 CA 방식을 버리고, 서로 다른 통신망을 하나의 전송 기술로 묶는 Link Aggregation(LA)을 적용했다.

LTE와 와이파이망의 결합은 최고 600Mbps라는 속도를 구현할 수 있게 했다.

KT는 2016년 상반기 안에 전국 곳곳의 LTE-H 시범망을 구성해 운용할 계획이다.

◇LGU+, 전파간섭 차단해 데이터 전송속도 극대화 = LG유플러스는 기지국간 전파간섭을 최소화해 데이터 전송속도를 극대화 하는 기술을 선보인다.

노키아와 함께 개발한 이 기술은 주파수 간섭을 차단하는 ‘다운링크 콤프 DPS’와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여주는 ‘다운링크 256쾀’으로 구성돼 있는데, 이들 모두 MWC2015에서 전격 공개된다.

이 기술은 스마트폰이 최대 3개의 주변 기지국의 주파수 품질을 비교, 품질이 가장 높은 기지국을 선택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원리다. 즉 이동 중에도 최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LG유플러스는 연말경 다운링크 콤프를 지원하는 단말 칩셋이 출시될 것으로 내다보고 단말 개발 일정에 맞춰 네트워크 상용화를 준비해 나갈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