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자체 상품안전센터 오픈…무결점 상품관리시스템 구축

입력 2015-02-25 16: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이마트)

이마트가 식품 품질관리를 전담하는 상품안전센터를 오픈하고 무결점 상품관리시스템 구축에 나섰다고 25일 밝혔다.

이마트는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상품안전센터를 통해 공인기관 수준의 품질검사 능력을 확보하고, 상품안전 선행 품질관리 및 이슈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 동안 이마트는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식품에 대한 품질검사를 신세계백화점 내 상품과학연구소와 외부 품질검사기관을 통해 공동으로 진행해왔다.

작년 기준으로 상품과학연구소와 외부 위탁검사기관을 통해 진행했던 품질검사 건수는 총 6200건으로 총 20억원의 비용이 들었다.

이마트는 이번 상품안전센터 운영을 통해 기존보다 약 1.5배 증가한 총 8800건 수준의 검증업무를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른 비용도 대부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마트는 매장에 입점하는 식품 신상품 품질검사, 식중독·유해물질 다발·대외기관 집중 수거품목 등 고위험MD 상시관리, PL·직소싱 및 농·축산물 안정성 검사 등 식품품질에 대한 사전검증 및 상시 검사체계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이마트는 고객서비스본부 내 품질안전팀 조직을 확대 개편했다. 먼저 팀 명칭을 품질관리팀에서 품질안전팀으로 바꾸고, 품질관리파트와 이번에 신설된 상품안전센터파트로 확대, 세분화했다.

상품안전센터는 센터장 1명에, 전문검사인력 5명으로 구성된 이마트 소속의 전담조직으로, 자가 품질 검사기관 및 기업연구소 등에서 경력을 쌓아온 전문연구원 출신의 외부 인력을 영입해 공인기관 수준의 상품안전 품질검사 능력을 확보했다.

또한 기존 상품과학연구소 내 검사시설 및 장비 확충을 통해 역시 공인기관 수준의 상품안전 품질검사 능력을 갖췄다. 지난해 11월부터 10억원을 넘게 투자해 이마트 전용 기기분석실과 미생물(식중독) 및 유전자 검사실 등 검사시설 79평을 증축했으며, Tempo(미생물·식중독균 정량 측정장비) 등 총 36종의 최신식 정밀분석 장비도 마련했다.

기존 상품과학연구소는 1972년 섬유실험을 시작으로 개관했으며, 1985년 식품분석을 도입하면서 현재는 신세계백화점 식품생활본부 소속으로 총 10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경택 이마트 품질안전팀 팀장은 “향후 식품뿐만 아니라 비식품으로까지도 그 영역을 확대해 품질과 관련된 어떠한 이슈라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무결점 상품관리시스템 및 운영체계를 완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