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계 교육비 비중 11년래 최저…저출산·복지확대 여파

입력 2015-02-19 09: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위 20%는 매월 53만원, 하위 20%는 6만7000원 교육비로 지출

지난해 가계의 소비지출 중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1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저출산·복지확대 등의 영향으로 2009년 이후 5년 연속 낮아지고 있는 가운데,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간 교육비 지출 격차는 8배 가까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가구(2인 이상)의 월평균 소비지출(255만1057원) 중 교육비 지출(28만4600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11.2%였다. 이는 2003년 11.0% 이후 11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가계의 소비지출 중 교육비 비중은 2005년 11.3%, 2007년 11.9% 등 계속해서 상승하다가 2009년 13.5%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10년 13.0%, 2011년 12.3%, 2012년 11.7%, 2013년 11.4% 등 5년 연속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비중뿐만 아니라 교육비 지출 자체도 줄어드는 추세다. 교육비 지출액은 2004∼2010년 꾸준히 증가했지만 2011년 -0.7%, 2012년 -2.1%, 2013년 -1.8% 등으로 3년 연속 내리막을 탔다.

지난해 월평균 교육비 지출액은 2013년보다 1147원(0.4%)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가계의 교육비 지출 비중이 줄어드는 데는 저출산, 고령화 등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와 정부의 유치원비 지원, 무상보육 등 복지제도 시행의 여파가 컸다.

소득수준별 교육비 지출 비중 격차도 컸다. 지난해 소득 상위 20%인 5분위는 월평균 52만9380원을 교육비에 썼다. 전체 소비지출의 13.3% 수준이다. 이에 반해 소득 하위 20%인 1분위는 한달 평균 6만6766원을 교육비로 써 5분위와 46만2614원이나 차이가 났다.

교육비 비중은 4분위 11.9%, 3분위 10.9%, 25분위 9.9%, 1분위 5.3% 등 소득 수준이 낮아질수록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분위는 20만701원, 3분위는 27만5740원, 4분위는 35만330원을 각각 교육비에 지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