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보고서 “금리인하만으로 기업투자 유도 어려워“

입력 2015-02-12 16: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준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부양책만으로는 기업 투자를 유도하기 어렵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부진한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위험회피 성향 및 구조적 문제점 해소에 초점을 맞춘 미시적 정책을 사용하거나 선택적 금융지원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주장이다.

한국은행은 12일 ‘주요국의 기업저축 현황 및 투자부진 요인’ 보고서(김좌겸 선진경제팀 과장·곽준희 조사역)를 통해 2000년대 들어 미국 등 선진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기업저축이 꾸준히 늘었으나 기업투자는 저축에 상응하는 정도로 증가하지 못했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2008년 이전 국내총생산(GDP) 대비 15.4%였던 한국의 기업저축은 2012년 18.8%로 상승했다. 또 금융위기 이후 4년간(2009∼2013년) 기업저축 연평균 증가율은 11.5%로, 미국(5.4%), 독일(2.8%), 일본(0.5%)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문제는 저축 증가로 투자재원이 늘었는데도 기업들은 투자에 나서기보다 금융자산을 쌓는데 더 치중했다는 점이다. 한국의 GDP 대비 기업저축은 2008∼2012년 사이 3.4%포인트 증가했으나, GDP 대비 기업투자(2012년 기준 19.4%)는 1.0%포인트 줄었다. 동시에 순금융자산취득액이 5.4%포인트나 늘었다.

주요국 기업들의 저축은 늘었는데 투자가 부진한 현상에 대해 김 과장은 “금융위기 이후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의 위험회피 성향이 증대된데 따른 것”이라며 “기업은 저축 증가에 따른 여유 자금을 실물투자보다는 금융투자에 투입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일본과 달리 한국 기업들은 여유자금으로 금융투자 규모를 늘리기보다는 차입규모를 크게 줄여 GDP 대비 순금융자산취득액 비중이 높아졌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기업들의 투자 부진에는 IT 혁신으로 유형자산 비중이 작아지는 등 구조적 요인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최근 주요국에서의 투자가 부진한 것은 자금조달이 어려워서가 아니라 경기에 대한 확신 부족과 구조적 문제 때문”이라며 “금리 경로를 통한 경기부양책만으로는 기업의 투자를 유도해내기 힘들다”고 진단했다.

이어 정책 당국이 기업들의 위험회피 성향과 구조적 문제점을 푸는 데 초점을 맞춘 미시적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제안했다. 지적재산권을 보장해 고부가가치 산업의 투자를 제도적으로 촉진하고, 유동비율이 낮은 기업에 선택적 금융지원 등에 나서는 것을 방법으로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