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기업 IT활용 수준 "3단계로 업그레이드"

입력 2015-02-05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래창조과학부는 5일 '2014년 국내기업 IT활용 실태조사' 결과 우리 중소기업의 IT활용 발전단계가 3단계(기업간 협업에서의 IT활용단계)로 진입(42.2점)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3년(39.0점) 대비 3.2점 상승한 수준으로 기업 내부적으로 IT를 활용한 수준에서 기업 간 구매ㆍ공급 등 협업 부문에서도 정보시스템을 활용하는 단계로 향상된 것을 의미한다.

대기업을 포함한 전체 기업 IT활용지수도 57.7점으로 전년(55.0점) 대비 2.7점 상승했다. 이 역시 국내 기업들의 전반적인 IT활용 수준이 '정보시스템을 통해 기업간 정보 공유 및 협업을 하는 단계'임을 의미한다.

IT활용지수는 기업의 IT활용 수준을 기업 내·외 전반적인 차원에서 측정해 계량화된 수치로 100에 가까울수록 IT활용 수준이 높다.

우선 지난해 업종별 IT활용수준을 보면 금융ㆍ보험업(66.9점)이 가장 높았고 출판ㆍ방송ㆍ정보통신업(62.5점)도 ‘전략적 경영 및 신사업 창출 단계 (4단계)’로 진입했다.

그 외 제조업(54.4점), 숙박ㆍ음식점업(51.2점), 운수업(48.7점) 등은 기업간 협업단계(3단계)로 파악됐다.

기업간 IT를 활용한 전자적 협업은 납기ㆍ물류ㆍ재고 등 모든 부분에서 업무 개선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문처리 시간’과 ‘납품 대기시간’ 단축의 효과가 컸다.

또 IT협업시스템 활용 기업의 30% 이상이 전년대비 15% 이상의 업무개선 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했다.

정보시스템 도입현황을 보면 CRM 도입 기업이 2013년 15.5%에서 2014년 22.4%로 크게(6.9%p) 증가했으며 ERP(34.2%→38.4%), SCM(12.3%→15.7%) 등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기존에는 기업 운영 효율화를 주목적으로 ERP 등에 치우쳐 있었다면, 이젠 대외 고객관리, 원자재 구매나 생산, 연구개발 등 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업무 과정에서의 IT를 활용(SCM, CRM 등)하는 것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헀다.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업무를 하는 스마트 오피스 도입 수준은 29.0%로 전년(22.7%) 대비 6.3%p 증가했다. 주로 이메일 발송 및 확인(91.5%), 업무결재(34.8%) 등 대내적인 업무 위주로, 대외적인 업무에는 영업지원(28.2%), 현장지원(18.0%) 등에 활용되고 있었다.

대·중소기업간 IT활용지수 격차는 2013년 31.3점에서 29.4점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중소기업들의 IT활용수준을 높이기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보안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활동은 주로 시설 및 장비보안과 같은 물리적 보안(71.5%) 활동이 주를 이뤘으며 보안규정 및 지침 시행과 같은 관리적 보안(59.2%), 보안시스템 구축 및 운영같은 기술적 보안(55.6%)을 수행하는 기업도 절반 이상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59.7%의 기업은 정보보호 전담 인력 또는 전담 조직 등이 없는 것으로 응답해 정보보호에 대한 인적 투자가 아직 매우 낮은 수준임을 보여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