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국보위서 삼청교육대 사건 핵심적 역할”

입력 2015-02-03 11: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새정치 진성준, 국방부 과거사규명위 보고서 토대로 의혹제기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가 과거 전두환 정권에서 ‘삼청교육대 사건’과 관련해 핵심적 역할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회 인사청문특위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진성준 의원은 3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후보자는 1980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 내무분과위에 소속돼 활동했는데,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가 2007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분과위는 삼청교육대 사건에 주요 임무를 수행했다”고 밝혔다.

진 의원은 “보고서에 따르면 내무분과위는 ‘불량배 현황’을 파악해 리스트를 작성하고 검거계획을 수립했다”며 “검거·신고·자수권유 조치·사후관리 등의 책임업무도 수행했다”고 했다.

이어 “국보위 김만기 전 사회정화분과위원장은 5공(제5공화국) 청문회에 출석해 행정각부 실무자가 파견요원으로 참여해 업무를 협의·조정했다고 했다”면서 “이 후보자도 내무분과위로 파견돼 온 실무자인 만큼 삼청계획에서 핵심역할을 했고, 그 공로로 보국훈장광복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 보고서에 따르면, 삼청교육대 사건은 1980년7월 국보위가 입안한 ‘불량배 소탕계획’에 의거해 계엄사령부의 지휘 아래 군·경이 6만여명의 대상자를 검거하고, 이 중 약 4만명을 순차적으로 군부대에 설치된 ‘삼청교육대’에 수용해 순화교육·근로봉사·보호감호를 시행한 대규모 인권침해 사건 사건이다. 이 과정에서 54명의 사망자와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진 의원은 “이 후보자는 삼청교육대 사건에 대한 자신의 인식과 입장을 밝히고, 국보위 내무분과위에서 자신의 역할을 솔직히 털어놓고, 국민 앞에 머리 숙여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