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연 2%대' 진입…1000조 가계부채 "더 늘어난다"

입력 2015-01-18 15: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택담보대출 금리에서 마지노선으로 여겼던 연 3% 장벽이 무너졌다. 이에 이미 1000조원 돌파한 가계 부채가 더 늘어나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 1년간 은행 대출을 통해 늘어난 가계 빚은 37조원에 달해 역대 최고의 증가폭을 기록했다. 특히 최근 석달 동안 늘어난 가계대출이 무려 20조원을 넘어 가계대출 급증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예컨대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8%대로 내려가면 1억원을 빌린 사람의 이자 부담은 월 23만원에 지나지 않는다. 그 결과 대출을 너무 '쉽게' 생각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3년 후 변동금리로 전환하는 외환은행의 고정금리대출 최저금리는 지난 6일까지 연 3%를 넘었으나, 7일 2.98%로 떨어진 후 매일 하락세를 이어가 15일에는 2.85%까지 내려앉았다. 최고 금리마저 연 3.15%에 지나지 않아 많은 고객들이 연 2% 후반대 대출금리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년 후 변동금리로 전환하는 고정금리대출의 최저금리 또한 3%선이 무너져 2.98%로 떨어졌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대 후반으로 떨어진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하나은행의 고정금리대출 금리도 지난 10일 3%선이 무너져 2.97%로 내려앉은데 이어 15일에는 2.92%까지 떨어졌다. 우리은행 고정금리대출과 변동금리대출의 최저금리도 모두 3% 밑 아래로 내려왔다. 고정금리대출 금리는 2.91%, 변동금리대출은 2.9%까지 주저앉았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의 변동금리대출 금리는 아직 3.0%지만 붕괴가 멀지 않았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대 후반까지 떨어진 것은 시장금리의 지속적인 하락 때문이다.

통상 고정금리대출의 금리는 국채 금리에 연동해 움직인다. 변동금리대출은 시장금리와 함께 움직이는 코픽스를 반영한다.

한편 새해 들어 유가 급락,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움직임 등 세계 경제가 불안한 조짐을 보이면서 안전자산인 국채에 돈이 몰리자 각국의 국채 가격이 가파르게 올라갔다. 국채 가격이 올라가면 반대로 금리는 떨어진다.

한국도 마찬가지여서 만기 3년 국채가 새해 들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더니 지난 14일에는 2%선이 무너져 1.97%가 됐다. 만기 5년 국채도 2.09%까지 하락해 2%선 붕괴를 눈앞에 두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