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 1호 재가동 결정에 원안위-민간검증단 첨예 대립

입력 2015-01-15 14: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재가동 결정을 두고 원안위 산하기관과 민간검증단의 견해가 크게 대립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원전 재가동의 결정 여부도 장기화될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5일 오전 제33회 전체회의를 통해 경북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수명연장(계속운전)을 논의 중이다.

설비용량 67만9000㎾인 월성 1호기는 1983년 4월 상업운전을 시작해 2012년 11월 설계수명 30년이 끝남에 따라 가동이 중단됐으며, 한국수력원자력이 2009년 12월 운전기간을 10년 연장하는 계속운전 신청을 해 원안위가 심사를 진행해왔다.

수명연장 결정이 나오면 월성 원전 1호기는 오는 2022년까지 재가동 할 수 있다.

앞서 원안위 산하 전문기관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지난해 10월 ‘계속운전 심사 보고서’를 통해 “안정성 측면에서 재가동에 문제 없다”고 공식평가한 바 있다. KINS 보고서는 수명연장 최종 심사 때 강제성을 가진다.한국수력원자력 또한 재가동을 위한 설비투자 등에 이미 5600여억원을 투입한 점, 영구정지 결정시 전력수급 문제 등을 거론하며 계속운전 허가를 주장해왔다.

반면 이달 초 공개된 월성 원전 1호기 스트레스테스트 결과의 경우 전문가 검증단인 KINS와 민간검증단의 의견이 완전히 엇갈렸다. KINS는 ‘양호하다’고 평가했지만, 환경단체와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민간검증단은 사실상 반대의사를 나타낸 바 있다. 스트레스테스트는 지진과 해일에 대한 원전의 물질적 방호상태를 종합 평가하는 것으로 수명연장 심사에서 법적 효과는 없다.

특히 회의를 참관 중인 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오전까지 KINS와 민간검증단의 심사 결과를 놓고 첨예하게 대립했다. KINS 측은 19가지 문제점이 발견되긴 했지만 추후 보완을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사안이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반면 민간검증단은 이 자리에서도 “32건의 안전 문제점이 있다"며 원전 재가동을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오후 2시께 재가동 여부가 일단락질 것으로 전망됐지만 이 같은 의견 대립에 따라 원안의 회의는 저녁 늦게까지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 관계자는 "한수원과 산업부는 오늘 재가동 여부에 대한 결정을 기대하고 있지만 추가 검증 여부가 이슈가 될 경우 수명연장 즉 재가동 결정은 한달 정도 연기될 가능성도 있다" 고 언급했다.

한편 이날 회의를 참관 중인 새정치민주연합 장하나 의원은 오후 원안위 회의 내용을 SNS를 통해알릴 것으로 전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