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 요금, '케이블TV' 요금 수준 감안해야

입력 2006-11-07 11: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ISDI 정훈 연구원, 'IPTV 요금수준 동향' 보고서

IPTV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차별화되기 위해서는 케이블TV와 확연히 구별되는 양방향, 결합판매서비스 등과 함께 요금정책이 매우 중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공정경쟁정책연구실 정훈 주임연구원은 7일 ‘IPTV 요금수준 동향’보고스를 통해 초기 IPTV 요금 수준은 케이블TV 요금 수준의 영향을 받고 케이블TV와 차별화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케이블TV보다 높은 요금을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정 주임연구원은 “IPTV 요금제와 케이블TV 요금제를 채널구성과 채널그룹이 지역별로 다른 상황에서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초기 IPTV 요금이 케이블TV 요금의 영향을 받을 것은 확실해 보인다”고 말했다.

IPTV 서비스 요금제는 케이블TV와 같이 전형적으로 적어도 기본(Basic), 중간(Mid-level), 프리미엄(Premium) 등 3가지 종류의 요금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IPTV서비스 요금은 월 사용료 이외에 설치비, 장비임대료, 보증금, 프로그램이용료 등이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 NowTV의 가입자당매출액(ARPU)이 15.34달러 정도로 홍콩 케이블TV의 가입자당매출액 26달러의 59%정도에 그치고 있다.

해외의 경우 IPTV보다 먼저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블TV의 가격이 우리나라 케이블TV의 가격보다는 높은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는 IPTV의 요금이 케이블TV의 요금보다 낮지만, 영국과 홍콩의 경우는 그 반대이다.

TotalTelecom에 따르면 지난 2003년 9월에 홍콩에서 NowTV라는 IPTV서비스를 시작한 PCCW는 세계 최고 수준인 65만4000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올 7월 현재 ARPU는 15.34달러 정도로 80만 가입자를 가지고 있는 홍콩 케이블TV의 ARPU 26달러의 59%수준에 그치고 있다. 사업개시 후 3년이 지났지만 케이블TV 이상의 가입자당 매출액 달성하기가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케이블TV 사업자들의 가입자당매출액이 월 6000원 정도이고, VOD(Video On Demand)위주로 서비스 하고 있는 하나TV의 요금이 4년 약정일 경우 월 7000~9000원이며, 내년에 상용서비스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KT의 IPTV 요금 수준이 월 1만5000원 정도일 것으로 보고 있다.

결국 홍콩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케이블TV와 차별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케이블TV보다 훨씬 높은 요금을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IPTV가 양방향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결합판매로 여러 서비스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는 다르다. 따라서 초기 IPTV 확산을 위해서는 케이블TV와 얼마나 차별화 시키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