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기술금융 5개월간 9조원 공급…목표치 2배 달성

입력 2015-01-14 14: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 3만2100건ㆍ20조원 추가 공급 계획

기술금융이 도입 5개월만에 1만4400건을 넘어섰다. 잔액으로 따지면 9조원에 달한다. 정부는 기술평가 신뢰도 제고 및 은행 인센티브를 통해 올해 20조원을 추가공급한다는 계획이다.

14일 금융위원회의 '기술신용평가 기반 대출 실적 및 전망'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기술금융 건수는 1만4413건으로 집계됐다. 금액으로는 8조9247억원(잠정)에 달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기술신용평가 기반 대출은 일반 중소기업 대출보다 건당 평균 대출금액이 3억8000만원 늘었고 대출금리는 0.38%포인트 낮아지는 효과가 있었다"라고 분석했다.

기술금융이 가장 활발한 업종은 제조업(72%)이었다. 아울러 IT 등 기술 서비스업(13%), 건설·인프라 사업(5%) 등 재화·서비스 생산에 통상적으로 기술이 수반되는 업종이 91%나 됐다.

10단계 기술등급 체계 중 상위 6단계가 대출의 87%를 차지했고, 신용대출이 80%(부분신용대출 포함), 창업기업 대출이 50%, 신규거래기업 대출이 35% 를 나타냈다.

은행별 실적을 살펴보면 기업은행이 4064건, 2조2165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신한은행(2696건, 1조7360억원)이 바짝 뒤쫓은 가운데 우리은행(2258건, 1조3123억원,) 하나은행(1470건, 1조183억원), KB국민은행(1352건, 7464억원) 순을 보였다.

정부는 올해 기술금융을 3만2100건, 20조원의 기술금융을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지난해 하반기 실적을 연 환산으로 변환하면 전년대비 10% 증가한수치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기슬기반평가에 따른 대출 부실률 등 정보를 집적하고 양적·질적 지표를 균형 있게 반영해 기술금융의 총량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운영상 내실을 다지기로 했다.

또 평가 결과 우수 은행에 대해서는 신·기보 출연료나 산업은행의 정책금융 지원 때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기술금융을 통해 재무여력이 부족하나 기술력이 우수한 창업기업 등에 대한 신용대출이 확대되도록 지속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