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게임산업 재도약 위해 5년간 2300억원 투입

입력 2014-12-18 14: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게임 산업 진흥과 e스포츠 중장기 계획 브리핑

(연합뉴스)

정부가 2019년까지 게임 제작 등 게임산업 재도약을 위해 23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8일 오전 서울청사 별관 2층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게임 산업 진흥과 e스포츠 진흥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문체부는 20여회에 걸쳐 현장간담회와 자문을 통해 게임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차세대 게임 산업 신영역 창출’, ‘게임 산업 재도약 기반 마련’, ‘게임 인식 제고를 통한 가치의 재발견’ 등의 3대 전략을 수립했다. 이를 위해 인력관리, 혁신·융합 플랫폼 개발, 게임문화 혁신, 동반성장, 창업 일자리 창출, 미래지향적 정책 개발, 해외 시장 진출 등을 7대 추진 방향을 설정하고, 앞으로 5년간 게임 산업 재도약을 위한 ‘게임 피카소(P.O.C.A.S.S.O)’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온라인 게임과 모바일 게임의 뒤를 이어갈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해 ‘오버더톱(Over the top)’ 서비스와 스마트TV 등 차세대 플랫폼에서의 게임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연구개발을 확대한다. 또한 차세대 플랫폼 환경에서의 ‘게임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관련 사업자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운영하고, 인공지능 게임 연계, 이용자 경험(UX)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문체부는 2019년까지 게임 제작 지원에 총 220억원을 지원하고 모태펀드를 통해 게임 산업에 5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게임 산업 재도약을 위해 제도 개선과 인력양성의 기반을 구축한다. 또한 지역별 특화 게임 산업을 육성하고 청년 일자리 창출과 창업도 지원할 계획이다. 모바일·컴퓨터 통합 운영체계(OS) 등장, 멀티바이스 게임의 확대, 게임 유통 사업자 증가 등 변화하는 게임유통 환경에 따라 ‘게임물 등급분류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다. 문체부·여가부 상설협의체, 아케이드 게임 상생 협의체, 온라인·모바일 게임 협의체 등 다양한 소통 창구를 마련해 건전한 게임 이용 문화 조성과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한 민관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게임의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도 함께 진행된다. 문체부는 ‘게임 아카이브’를 구축해 국내에서 개발·유통됐던 게임의 정보를 민간에 제공할 예정이다. 이는 게임의 내용과 연령등급, 이용방식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세대간 게임을 이해하고 소통의 도구로 활용될 전망이다.

기능성 게임 제작에 대한 지원 확대로 사회적 영역에서 게임의 역할을 확대하고 건전한 여가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체감형 아케이드 게임 제작 지원 사업도 확대한다. 이용자들이 즐거움과 감동을 느낄 수 있는 게임은 ‘착한게임’으로 선정해 지원 사업 참가시 가산점을 부여하고 다양한 게임을 창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예정이다.

특히 이와 함께 e스포츠를 문화와 스포츠가 결합한 콘텐츠 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e스포츠 진흥 중장기계획’을 수립했다. 이번 계획에는 국제 e스포츠 종주국으로서 한국의 위상을 강화하고 지속 성장을 위한 생태계를 확립하며 e스포츠를 문화 활동과 여가 활동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이 포함됐다. e스포츠가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고 분야별 특성에 맞는 정책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e스포츠의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프로·아마추어·생활 부문이 조화를 이뤄 생활스포츠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더불어 중등학교의 자유학기제와 연계해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G러닝에 적용해 스포츠 영역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윤태웅 문화콘텐츠산업실장은 “앞으로 게임 산업계와 긴밀한 관계를 구축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e스포츠의 저변을 확대하고 사회적 인식 개선을 통해 게임을 건전한 문화생활로 인식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