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공중전화·우체통 단계적 철거… 가로수도 정리

입력 2014-12-15 11: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난립 가로시설물 정비하는 ‘인도 10계명’ 발표

서울시가 시내 공중전화와 우체통을 단계적으로 철거한다. 보행에 지장을 주는 가로수는 이식·제거하고 횡단보도 턱을 낮추는 등 보행에 불편을 요소를 정비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5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인도 10계명’을 발표했다.

시는 올 연말부터 무질서하게 설치․운영 중인 30종류의 110만 가로시설물을 비우고, 모으고, 낮추고 옮기는 등의 정비 사업을 시행해 서울시민의 보행권을 회복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보도블록, 인도, 차도 이런 것들이 도시의 가장 기본 인프라”라고 강조하며 “인도의 주인은 사람이다. 사람 중심 도시, 보행자 중심 도시를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인도 10계명’에 따르면 먼저 스마트폰 시대를 맞아 이용률이 저조해진 공중전화부스, 우체통 등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철거한다.

공중전화는 총 2609개소(5666실) 중 올해 450실, 내년에 450실을 철거한다. 현재 총 2397개인 우체통은 올해 390개, 내년 450개를 추가로 철거하는 등 점차 수량을 감소시킬 계획이다.

또 제각각 난립된 신호등·가로등·교통표지판·시설안내표지판·CCTV는 뉴욕시처럼 한 기둥 아래 모으는 ‘통합형 지주’로 전환한다.

한전 등과 협력해 횡단보도 턱, 인도로 돌출된 가로수 뿌리나 분전함 등은 정돈․이전한다. 보행로 최소 폭인 2.0m를 확보하지 않은 가로수는 지역 주민 의견 수렴을 통해 존치 또는 이식․제거를 적극 추진해 보행 장애 없는 거리를 만들 방침이다..

아울러 지하철 환기구 설치구간 중 최소 유효보도 폭 (2.0m) 미확보로 인해 보행자 불편 및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곳은 환기구 높이를 낮춰 보행환경을 개선한다.

오토바이·차량 불법주정차 문제 해결을 위해선 미국 오레곤주, 체코 프라하 등 서울과 비슷한 여건의 도시들이 설치·운영하고 있는 ‘포켓주차장’을 첫 도입한다. 내년 종로구 종로4가 등 총 5개노선에 시범조성한 후 확대할 계획이다.

인도 위 입간판, 상품 적치 등 불법 적치물에 대한 단속을 한층 강화하고, 유사업종 밀집지역의 경우 자율 정비 시 지역상가 정보안내 앱(App)개발 지원 및 스마트 윈도우 지역상가 홍보 지원 등 인센티브를 줄 예정이다.

시는 보도시설물 설치 시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자치구 점용허가 시 보행환경과 디자인 등을 통합 심의․허가할 수 있도록 ‘보행환경 총괄 실무협의회’(가칭)를 자치구마다 구성하는 한편, 통합적 심의기준이 될 ‘가로시설물 설치 및 유지관리 매뉴얼’을 개발해 향후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보행자들이 인도를 빨리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다기보다는 거리의 쾌적함을 즐기면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취지에서 ‘인도 10계명’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