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령 소화성궤양 환자 증가…젊은층 빠르게 감소하는데, 노인층은 왜?

입력 2014-12-03 02: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노령 소화성궤양 환자 증가

(사진=MBC)

소화성궤양 환자가 노령인구층에서 여전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08-2013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 분석 내용에 따르면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을 포함하는‘ 소화성궤양(K25∼K27)'의 진료인원이 2009년 251만2000명에서 2013년 206만8000명으로 17.8% 감소(연평균 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진료인원 추이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와 30대 연령층에서 감소율이 두드러졌다. 반면 70대 이상에서는 진료인원이 연평균 2.5%씩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2013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70대 이상이 인구 10만명당 1만1893명으로 가장 많고, 60대(9458명), 80대(8331명) 순으로 나타나 노령인구층에서 진료인원이 많았다. 전체 평균인 4000여 명의 3배 가까운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성 궤양의 경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의한 감염과 소염제 복용으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노인층에서는 관절염 치료를 목적으로 소염제 복용이 많아 소화성궤양 환자가 젊은 층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전한호 교수(소화기내과)는 "소화성궤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비스테로이드소염제가 있다"면서 "국내 역학조사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비스테로이드소염제에 의한 소화성궤양은 증가하고 있다"고 있다고 전했다.

전한호 교수는 "인구고령화로 노인층에서 아스피린이나 비스테로이드소염제를 복용하는 환자들은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로 인한 노인층에서 소화성 궤양의 발생도 더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네티즌들은 "노령 소화성궤양 환자 증가, 진통제가 궤양의 원인기 되기도 하자", "노령 소화성궤양 환자 증가, 건강이 최고다 진짜", "노령 소화성궤양 환자 증가, 결국 약물때문에 또 다른 병이 생생긴다는거네", "노령 소화성궤양 환자 증가, 고령화때문에 앞으로 더하겠네"라고 지적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