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조산업 원양어선 침몰, '501오룡호' 베링해 간 이유 보니…

입력 2014-12-02 17: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뉴시스)
사조산업 원양어선 침몰 사고(오룡호 침몰)로 한국인 1명이 숨지고 한국인 선원 10명을 포함해 무려 52명이 실종된 상태다.

명태잡이 트롤어선인 ‘사조산업 501 오룡호’에 탑승했던 선원 구조작업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오룡호가 베링해까지 가서 조업을 해야만 했던 이유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베링해는 북태평양의 북부에 위치한 바다다. ‘러시아의 시베리아ㆍ미국의 알레스카주ㆍ북극해’로 둘러싸인 지역으로 조업 조건이 열악하기로 악명 높다.

베링해의 남서부에는 최심 4097m에 이르는 알류샨 해분이 있어 대체로 깊으나 북동부에는 대규모의 대륙붕이 발달해 있다. 겨울에는 유빙이 많고 시베리아 쪽은 한랭하기 때문에 아나디리 만은 9월경에 결빙해 7월경 해빙된다. 알류샨 열도 중부 쪽은 1월경 결빙 후 3월경에 해빙한다.

반면 더치하버와 키스카에서는 겨우 얼음을 볼 수 있는 정도로 사실상의 부동항을 이룬다. 이에 연어ㆍ송어ㆍ게ㆍ고래ㆍ바다표범 등의 어획이 많고 바다의 중앙부를 날짜변경선이 통과하고 있다.

아직은 초겨울이라 사조산업 원양어선 침몰 사고지점의 바닷물 온도는 영상 1도 수준이지만 한겨울에는 해상의 기온이 영하 25도 가까이 내려가고 육지에 인접한 바닷물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 연안 바다는 얼어붙는다.

그럼에도 이번 사조산업 원양어선 침몰 사고를 일으킨 ‘사조산업 501 오룡호’를 비롯한 한국 어선들이 베링해까지 조업을 나서게 된 데는 대구, 명태, 꽁치 등 400여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황금어장이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명태의 경우 동해, 오호츠크해, 베링해, 북태평양 등에 분포하는데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동해에서 잡히는 어획량이 꾸준히 감소하면서 원양 어업을 나서지 않는 한 명태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 처했다.

이에 따라 명태잡이 트롤어선 ‘사조산업 501 오룡호’가 악명 높은 베링해로 멀리 조업을 나갈 수밖에 없었던 걸로 풀이된다.

한편,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동해에서의 명태 어획량은 25만톤에 달했던 1940년대 이후 줄곧 떨어져 1970년대에는 7만톤, 2007년부터 현재까지는 1~2톤으로 급감하는 추세다. 국민 생선 명태의 어획량이 줄어들수록 원양 조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사조산업 원양어선 침몰 501오룡호, 어쩌다가 베링해에서", "사조산업 원양어선 침몰 501오룡호, 베링해에서 빨리 구조되길...", "사조산업 원양어선 침몰 501오룡호, 안타깝네요. 세월호 사고의 악몽이 가시지 않았는데" 등의 반응을 나타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