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국민투표서 金 보유확대 법안 부결…금값, 요동치나

입력 2014-12-01 14: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민의 78% 반대…1일 금 현물 가격 최대 2.1% 급락

▲스위스중앙은행의 금 보유 비중을 확대하자는 방안이 국민투표에서 부결되면서 금값이 더 하강 압박을 받을 전망이다. 사진은 스위스 멘드리시오 인근 제련소에서 갓 생산된 금괴들이 쌓여있다. 블룸버그

스위스중앙은행(SNB)의 금(金) 보유 비중 20% 이상 확충 국민제안이 지지를 얻지 못한 채 무위에 그치면서 금값 하락세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비지니스위크에 따르면 전날 26개주(캔톤)에서 진행된 국민투표에서 3개의 발의안이 과반 이상의 반대로 모두 부결됐다. 그 중 가장 글로벌 투자시장의 주목을 받았던 스위스 금 보유 비중 확대안은 국민의 78%가 반대해 무산됐다. 스위스에서는 국민 제안이 캔톤의 절반 이상, 국민의 반 이상이 찬성해야 법으로 제정된다.

현재 SNB의 금 보유량은 1040t이다. 이 제안이 가결될 경우 SNB는 5년 내 최소 1500t을 매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위스는 세계 3위 금 보유국이 될 전망이었다. 이 때문에 상당수의 투자자가 금값 상승에 배팅하기도 했다.

앞서 보수정당인 스위스국민당이 ‘우리 스위스 금을 구하자(Save Our Swiss Gold)’라는 캠페인 아래 추진해온 금 보유 확대 법안은 SNB의 금 매각을 금지하고 영국과 캐나다 등 해외에 있는 금 보유분의 30%를 본국으로 다시 들여와 향후 5년 내 전체 자산 포트폴리오 가운데 금 보유 비중을 20% 이상으로 확대하도록 요구했다. SNB가 지난 3년간 스위스프랑화 환율을 방어하기 위해 유로화를 대거 확보하고 있지만 향후 유로화 약세로 손해를 볼 수 있어 헤지수단으로 금 보유량을 늘려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그러나 유가 하락으로 비용이 크게 감소하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내년 중반께로 전망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리스크에 대한 헤지수단인 금 중요성이 줄어들게 됐다고 비즈니스위크는 지적했다.

이번 부결은 국제 금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란 평가다. 네덜란드 ABN암로은행의 조젯 보엘 애널리스트는 “투표에 앞서 지난 몇 주간 금값이 (투표 결과에 대한 기대감)의 지지를 받았다”면서 “앞으로 금값이 더 많은 하강 압력을 받게 될 것이며 향후 금값 전망이 좋지 않다”고 말했다.

1일 싱가포르거래소에서 금 현물가격은 장중 최대 2.1% 떨어진 온스당 1142.88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 7일 이후 최저치다. 금값은 강달러와 상장지수상품(ETP)의 금 보유 축소 등으로 올 들어 4.1% 빠졌다.

한편 국민투표에 함께 상정된 스위스 거주 부유 외국인에 대한 세금혜택 폐지, 스위스로 유입되는 이민자 수를 현재의 매년 약 8만명에서 1만6000명 선으로 대폭 줄이자는 이민제안 안건이 투표결과 모두 부결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