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간 엇박자 통화정책에 韓경제‘몸살’…수출 직격탄

입력 2014-11-03 09:28수정 2014-11-03 10: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요 선진국들이 ‘제각각 통화정책’을 단행하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에 낀 한국의 ‘샌드위치 경제’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6년만에 양적완화 종료를 선언한 데 이어 그로부터 하루 만인 지난달 31일 일본은행이 양적완화 규모를 종전보다 10조~20조엔 늘리는 깜짝 추가 부양조치를 단행했다. 유럽도 조만간 뒤늦은 돈풀기에 동참할 태세다.

당장 선진국 통화정책의 공조없는 엇박자가 현실화되면서 통화별 가치 차이가 확대되고 있다. 뉴욕외환시장에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달러당 엔화 가치는 3% 가까이 떨어지면서 112.32엔으로 밀렸다. 장 중에는 지난 2007년 12월 이후 최저치인 112.48엔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달러는 강세를 나타냈다. 주요 10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한 블룸버그달러스팟인덱스는 0.9% 오른 1080.84를 기록했다. 이는 2010년 6월 이후 최고치다. 달러화는 강세를 보이고 엔화가 약세를 보이는 것은 곧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전성이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경제의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엔 악재일 수밖에 없다.

특히 일본의 추가 양적완화로 엔저가 심화하면 일본 기업들이 수출단가를 본격적으로 낮추게 돼 우리나라 수출기업은 직격탄을 맞게 된다.

김유미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의 추가 양적완화 기대감을 반영해 엔화 약세가 가파르게 진행되면 원·달러 환율의 상승폭이 단기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이 때문에 일본과의 수출 경합도가 높은 산업을 중심으로 수출 실적에 대한 부담은 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전세계 금융시장에서 결정되는 엔화 환율에 대해 한국으로선 사실 마땅한 대응 방안이 없다는 것이다. 이에 환변동보험료 부담 경감과 정책자금 지원 등 응급처방이 아닌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오세환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계속되는 엔저 충격을 줄이려면 정부 차원의 원-엔 직거래 시장 개설 검토나 기업들의 환변동 보험 가입을 위한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