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태 회장의 고민 ... 2.17 합의서 논란 속 조기통합 강행하나

입력 2014-10-28 10:30수정 2014-10-28 11: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연내 합치려면 이번주가 분수령…금주 이사회 의결 예정 금융위 승인신청 후 노조 만날 듯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그가 계획한 연내 통합을 달성하려면 적어도 이달내 이사회를 열고 관련 안건을 통과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국정감사 이후 ‘2.17합의서’ 조작 논란이 퍼지고 있는 가운데 당국의‘신경’을 건드리지 않으면서 외환은행 노조를 달랠 묘책을 마련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 우선 이번주 이사회를 열고 조기통합을 의결한 뒤 금융위원회에 통합 승인신청을 한 뒤 노조와의 대화에 나설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금융과 하나·외환은행은 이번주 이사회를 열고 조기통합을 의결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김 회장은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조기 통합과 관련해 “10월 내로 금융당국에 통합을 신청하겠다”고 수차례 밝힌바 있다.

하나금융은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이 조기 통합에 나설 경우 2692억원의 비용이 절감되고 429억원의 수익이 늘어나 연평균 총 3121억원의 통합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통합을 3년 앞당기면 약 1조원의 효과를 낸다는 계산이다.

이에 대해 하나금융 관계자는 “이사회 일정과 관련해 아직까지 결정된바 없다”고 조심스런 입장을 내비쳤다.

문제는 이번 국감에서 하나·외환은행의 ‘2.17 합의서’와 관련한 김승유 전 회장의 발언이 조기통합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김 전 회장은 지난 15일 국감에서 “2.17 합의를 지켜야 한다”는 야당 의원들의 지적에 대해 “합의는 이미 (외환은행 노조로 인해) 깨졌다”라고 응수했다. 특히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합의서에는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의 사인이 담기지 않았다고 말해 위증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실제 전일 열린 종합감사에서 한명숙 의원은 합의 당시 사진을 제시하며 “사진을 보면 서명을 하고 있는데 충분한 증거”라며 “김승유 회장은 지난번에 위증을 한 것”이라고 위증 문제를 제기했다.

외환은행 노조가 ‘노사정’ 협의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권으로까지 문제가 확산되자 김정태 회장의 고민은 커지고 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재차 “조기 통합에는(하나은행과 외환은행)당사자간 합의가 따라야 한다”며 노사 합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무작정 밀어붙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김승유 전 회장의 상임위 차원의 위증 고발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 김정태 회장의 고민이 그 어느때보다 클 것”이라며“그러나 연내 통합을 위해 무작정 일정을 미룰 수도 없어 우선 금융위에 통합신청을 한뒤 노조와의 적극적인 협상에 나서는 방안을 강구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