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R&D 미래 책임질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첫 삽

입력 2014-10-23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최대 융복합 연구단지… 연 고용창출 9만명ㆍ생산유발 효과 24조원

▲LG사이언스파크 조감도(사진=LG)

LG가 마곡산업단지에 국내 최대 규모의 융복합 연구단지를 건설한다. LG는 23일 서울 강서구 마곡산업단지에 연구단지 ‘LG사이언스파크’ 기공식을 열고 첫 삽을 떴다.

이날 기공식에는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해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원순 서울시장,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등 주요 인사를 비롯해 구본무 LG 회장, 강유식 LG경영개발원 부회장, 구본준 LG전자 부회장,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 박진수 LG화학 부회장 등 LG 최고경영진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마곡산업단지에 구축되는 LG사이언스파크는 축구장 24개 크기인 17만여㎡(약 5만3000평) 부지에, 연면적 111만여㎡(약 33만7000평) 규모로 연구시설 18개 동이 들어선다. 연면적 기준으로는 기존 LG에서 가장 규모가 큰 연구소인 LG전자 서초R&D캠퍼스의 약 9배, 그룹 본사 사옥인 여의도 LG트윈타워의 두 배 규모의 크기다.

LG사이언스파크에는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생활건강, LG생명과학, LG유플러스, LG CNS 등 10개 계열사의 선행연구 조직이 2017년 1단계 준공 후 입주할 예정이다.

2020년 완공 후에는 전자ㆍ화학ㆍ통신 그리고 에너지ㆍ바이오 분야 2만5000명의 연구인력들이 집결해 융복합 연구 및 핵심ㆍ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시장선도 제품과 차세대 성장엔진을 발굴하는 LG의 ‘첨단 연구개발(R&D) 메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LG사이언스파크는 융복합 연구기반의 제품 및 서비스 개발과 이에 따른 시장 발굴 등 부가가치를 창출해 연간 고용창출 약 9만명, 생산유발 약 24조원 등 경제효과를 만들어 낼 것으로 LG 측은 기대하고 있다.

구본무 회장은 이날 기공식에서 환영사를 통해 “LG가 2020년까지 약 4조원을 투자할 LG사이언스파크는 전자, 화학, 통신 그리고 에너지와 바이오 등 다방면의 두뇌들이 모여 창조적 혁신을 추구하는 우리나라 최대 융복합 연구단지가 될 것”이라며 “오늘 첫 삽을 뜨는 LG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수만 명의 다양한 인재들을 유치하고 육성하여, 기술들과 산업간의 융복합을 촉진하고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LG사이언스파크는 연구 과제의 특성에 따라 연구동 공간을 변경해 운영할 수 있도록 ‘유연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된다. 특히 LG사이언스파크 ‘공동실험센터’와 ‘통합지원센터’가 들어서며, ‘R&D 통합포털’과 ‘연구동아리’ 등 다양한 융복합 R&D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또 중소ㆍ벤처기업과의 R&D를 통한 동반성장 생태계와 오픈 이노베이션의 장으로도 조성될 방침이다. 이를 위해 LG와 협력관계에 있는 중소ㆍ벤처 기업과 신기술 인큐베이팅 등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활성화 하고, R&D 컨설팅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