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국감] 경제성장률 밑도는 실질임금 증가율…‘임금없는 성장’ 고착화

입력 2014-10-15 17: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근 5년간 2012년을 제외한 나머지 4년간 물가 상승분을 감안한 근로자의 실질임금 증가율이 경제성장률보다 낮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올해는 실질임금 증가율이 0%대로 뚝 떨어져 ‘임금 없는 성장’이 지속되고 있는 분위기다.

15일 기획재정부가 박맹우 새누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 실질임금 증가율은 1.28%로 같은 기간의 연평균 경제성장률 3.24%의 절반을 밑돌았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명목임금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분을 뺀 것으로 근로자들의 실질적인 구매력이 얼마나 늘었는지 나타낸다.

이 기간 연도별 실질임금 증가율은 2009년 -0.1%, 2010년 3.8%, 2011년 -2.9%, 2012년 3.1%, 2013년 2.5%였다. 반면 2009∼2013년까지 연도별 경제성장률은 2009년 0.7%, 2010년 6.5%, 2011년 3.7%, 2012년 2.3%, 2013년 3.0%였다. 지난 5년간 경제성장률보다 실질임금 증가율이 높았던 때는 2012년 한해 뿐이었다. 경제는 성장하지만 근로자의 임금은 그만큼 오르지 않는 ‘임금없는 성장’이 고착화되고 있는 것이다.

올해 들어 실질임금 증가율의 부진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한국은행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질임금 증가율은 1.8%를 기록했고 2분기에는 0.2%에 그쳐 2011년 4분기(-2.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올해 상반기 전체로 봤을 때 실질임금 증가율은 0.99%로 0%대로 떨어졌다.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 전체적으로도 상승률이 1%대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성과급·상여금 등 특별급여 인상폭을 크게 줄인 데다 비정규직 일자리가 늘어나는 등 고용의 질이 나빠진 탓에 실질임금이 뒷걸음질 치고 있다고 분석한다. 실질임금 증가율의 둔화는 가계 소득을 위축시켜 소비 등 내수 기반을 취약하게 만드는 주 요인이다. 특히 물가 하락으로 경제 활동이 침체하는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