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형 창업 생존율'
![](https://img.etoday.co.kr/pto_db/2014/10/600/20141013113039_521011_520_783.jpg)
생계형 창업은 나날이 늘고 있지만 이중 절반이 훨씬 넘는 경우가 창업 5년 이내에 폐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부좌현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제출받아 자료를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창업 5년 후 생존율은 숙박 및 음식업의 경우 17.7%에 불과하고 도소매업은 26.7%로 나타났다.
특히 숙박 및 음식업의 경우는 상황이 더욱 심각해 창업 후 1년 뒤 절반이 조금 넘는 55.3%의 생존율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마저도 3년 후에는 28.9%, 5년 후에는 17.7까지 생존율이 하락했다. 이 분야의 경우 10명 중 8명은 5년 내에 폐업한다는 결론이다.
그나마 사정이 조금 더 나은 도소매업은 창업 1년 후 56.7%의 생존율을 보였지만 3년 후에는 35.8%로 하락했고 5년 후에는 26.7%까지 떨어졌다. 이 분야에서도 창업한 10명 중 7명 이상은 5년을 버티지 못하고 폐업을 한 셈이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부좌현 의원은 "현재 자영업자의 상황은 매우 어렵다"고 전제하며 "자영업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범정부 차원에서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국의 자영업자 비중은 28.2%에 달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평균(15.8%)보다 약 1.8배 높은 수준이다.
한편 생계형 창업 생존율을 접한 네티즌은 "생계형 창업 생존율, 한 동네에만 치킨집이 3~4곳씩 있으니" "생계형 창업 생존율, 먹는 장사가 남기도 많이 남을지 모르지만 망하기도 쉬운 듯" "생계형 창업 생존율, 주변에서 창업해서 성공한 경우 못 본 듯" "생계형 창업 생존율, 그래서 월급쟁이가 낫다고 하는거군" 등과 같은 다양한 반응을 나타냈다.
'생계형 창업 생존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