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민간 무인기 '틸트로터' 개발 착수...어군탐지 등에 활용

입력 2014-10-09 11: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민간 무인기 시장을 국내 기업들이 선점할 수 있도록 제품 개발 사업에 착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헬기처럼 수직 이착륙할 수 있는 무인기인 틸트로터(Tiltrotor)를 개발하는 시범사업을 시작했다고 9일 밝혔다.

무인 비행체인 틸트로터는 헬기처럼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며 이륙 후 프로펠러의 위치를 전진 방향으로 돌릴 수 있어 고속 비행을 할 수 있다.

최고 속도가 시속 250㎞라 유인 헬기(최대 150∼200㎞/h)보다 빠르고 체공 시간 또한 배 이상 긴 6시간에 달한다.

우리나라는 틸트로터의 비행제어를 비롯한 핵심 원천 기술을 10년 가까운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세계에서 2번째로 확보했다.

이를 기반으로 실제 임무에 적합한 제품을 만드는 시범사업을 2016년까지 진행하며 특히 원양 어군(魚群) 탐지용 무인기 사업이 우선 실시될 전망이다.

현재 원양 어선들은 물고기 떼를 탐지하기 위해 유인 헬기를 동원하고 있는데, 기종이 낡아 인명사고 위험이 높아진 데다 조업환경이 열악해 조종사 확보 또한 여려운 실정이다.

산업부는 틸트로터의 경우 빠른 비행속도와 긴 체공시간으로 신속하게 어군을 찾아낼 수 있는 만큼 원양 어업계의 수요가 높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내 어선 60여척을 포함해 전 세계 500여척의 원양 어선이 틸트로터를 활용할 것으로 산업부는 내다봤다.

산업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틸트로터의 기능을 해상 임무에 맞게 가다듬고 수요자의 세부 요구사항을 사전에 파악하는 한편 선주문 확보 등 마케팅 사업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2016년부터는 본개발 사업을 시작, 2023년이 되면 원양 어군탐지와 불법어로 감시, 군 정찰용 등 국내외 무인기 시장을 본격 공략할 제품 개발을 마친다는 게 산업부의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