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부림사건 무죄확정으로 본 ‘변호인’의 힘

입력 2014-10-08 11: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두선 문화부 기자

한해 1억 관객을 확보한 한국영화는 단순한 숫자를 넘어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능수능란하게 담을 수 있다는 점에서 진정한 르네상스 시대를 열었다. 현시대처럼 사회적 메시지를 강하게 담고, 그 영향력이 가시적으로 나타난 적은 없었다. 지난 9월 25일 대법원에서 무죄판결이 확정된 부림사건 피해자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발시킨 ‘변호인’이 그랬다. ‘변호인’의 흥행은 문화적 콘텐츠의 성공을 넘어 사회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대중문화의 사회 반영은 문화가 담당한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부조리를 가장 빠르게 대중에 인식시키고, 광범위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사회 안정과 사회 비판 사이를 오가는 문화 콘텐츠를 대하는 대중이 택해야 할 자세는 영화 ‘명량’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명량’의 흥행은 사회적 메시지에서 그 요인을 찾는 것이 더 분명하다. 세월호 참사로 드러난 소통의 부재, 리더십 실종 등에 대한 대중의 목마름이 ‘명량’에 집중돼 나타난 결과라는 것이다. ‘변호인’의 흥행과 ‘명량’의 흥행에서 더 나은 사회를 바라는 대중의 욕구를 읽을 수 있다. 국민적 요구를 투영하고 관철하기 위한 움직임이 문화에 스며들어 조용하지만 진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사회는 철저한 자기반성, 신랄한 비판, 살신성인의 희생을 통해 발전한다. 우리 역사는 이를 잔인하게 경험해왔다. 사회 발전은 현재진행형이다. 앞으로도 비상식과 싸우는 국민 정서는 뜨겁게 솟구칠 것이다. 그 가운데 영화라는 콘텐츠가 한몫 단단히 해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1000만 관객’은 영화가 말하는 바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암묵적 힘이다. 공허하게 떠도는 억울한 누명도, 정치권력에 의해 짓밟힌 소수의 발언도, 무관심 속에 방치된 사회적 약자의 아픔도, 영화를 통해 국민적 관심을 얻을 수 있다. 5000만 인구에서 1700만명이 한 영화를 보고 있는 우리 영화시장은 가장 효과적인 ‘아고라’가 아닌가.

최두선 기자 sun@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