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세월호법 합의 불발 시에도 등원에 무게

입력 2014-09-30 10: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합의 안 돼도 국회 정상화 지론 밀고 나갈 것…3자협상 후 끝장의총”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30일 여야간 세월호특별법 합의 불발 시에도 국회 정상화를 위해 본회의에 참석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 위원장은 이날 여야-유가족간 3자 협상 재개에 앞서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세월호특별법 협상) 합의가 되면 무조건 (등원)이고, 합의가 안될 경우 어떻게 할지 논의는 하되 약속한 대로 9월말까지는 국회를 정상화한다는 지론을 밀고 나가겠다. 오늘 (당내) 의견을 모아 가능한 한 등원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비대위원장을 맡는 순간부터 국회의원은 국회에 있을 때 가장 아름답다는 말을 했다. 등원하자고 결정을 날리는 게 나의 마지막 복안”이라며 “지금 이런 판국에 ‘정기국회를 안 들어간다’ ‘예산도 국정감사도 포기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거듭 등원 방침을 밝혔다.

문 위원장은 그러면서 이날 협상 결과 후 ‘끝장 의총’을 열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세월호법이 타결됐는데도 뭐라고 하면 돌출분자거나 이상한 사람이다. 잘됐는데 고춧가루 뿌리겠는가. 그건 국민적 지탄을 받을 것이니만큼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협상이 또다시 결렬될 경우에 대해선 “우물쭈물 하다가 아무것도 못하고, 들어가지도 나아가지도 못한 채 속수무책으로 꼼짝 못하는 상황이 최악이다. 그건 피할 것”이라며 “단 한명도 예외 없이 총원이 싹 들어가야 하고, 만약 안 그러려면 한 명도 안 들어가고 다른 투쟁방법을 써야 한다”고 했다.

‘등원 여부에 대한 의원투표 실시 여부’엔 “그 이상 뭐가 있겠느냐”고 답해, 의총에서 격론이 벌어질 경우 의원투표를 통해 등원 결정할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했다.

전날 여야-유가족 3자간 협상과 관련해선 “내용을 나한테 얘기하지 말라고 그래서 진짜 구체적 내용은 모른다”면서도 “여당이 안 받을 걸 전제로 유가족 총회를 거치고 나서 다시 만나자고 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랬다면 협상 파트너로서 자격이 없는 것”이라고 했다.

문 위원장은 “우리는 할일을 다했다. 유가족한테도 최선을 다했다”며 “이제 뭐든 깨지면 여당의 책임이다. 그걸 분명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