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금융의 성공조건] 이형주 금융위원회 산업금융과장 “은행 기술금융 정착될 때까지 실적점검 지속”

입력 2014-09-16 14: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기관 자생적 능력 키워…기술가치평가 기반 투자자금도 확대

이형주 금융위원회 산업금융 과장은 은행의 기술금융이 자생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책금융을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은행 스스로 평가하고, 대출에 나서야 한다는 의미다.

최근 이 과장은 기자를 만나 “은행이 기술금융을 적극적으로 한다는 판단이 있을 때까지 실적 점검에 나설 것이다. 정착될 때까지 점검한다”고 밝혔다.

이 과장은 정부는 기술금융의 인프라를 만드는 등 촉매제 역할을 하고, 중장기적으로 금융기관이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설명했다. 금융기관이 스스로 기술금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 3년 내 정착하게 한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현재, 지난 8월 22일 기준 기술신용평가를 활용한 대출은 1117건으로 8500억원 규모이다.

이 과장은 “기존에 은행이 익숙지 않았던 모바일 앱, IT 등 새로운 기술이 원활하게 사업화되는 것이 창조경제”라며 “앞으로 3년간 7만개의 기업이 기술신용평가를 활용한 대출을 받아 부가가치가 높은 창업 중심으로 창업 문화가 바뀔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은행과 기술신용평가기관(TCB)에 제공하는 기술정보데이터베이스(TDB) 서비스의 집중 기관을 연말까지 100개로 확대하고, 건수도 1000만건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또 금융위는 기술금융 우수은행에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했다. 기술보증기금은 우수은행에 대해 기술신용 대출시 최대 3%포인트의 이차보전 지원액을 37억5000만원에서 100억원으로 확대한다.

이 과장은 “묻지마식 대출을 하라는 것이 아니다. 신용정보와 기술정보를 같이 보면 부도 위험은 더 줄어든다”며 “다만 기업의 부담을 줄어주기 위해 이차보전 사업을 하는 것이다. 필요하다면 더 확대할 계획이다 ”고 설명했다.

더불어 금융위는 기술가치 평가에 기반한 투자자금도 확대하기로 했다. 하반기 중 ‘기술가치평가 투자펀드’를 3000억원 규모로 조성해 성장사다리펀드의 지원 역량을 기술금융 모험투자에 보다 집중할 방침이다.

금융위는 기술기업에 투자한 자금을 원활히 회수할 수 있도록 지식재산이나 투자지분을 매수해주는 펀드(세컨더리펀드, 지식재산회수펀드)를 4700억원 규모로 2배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이 과장은 “투자기업이 가지고 있는 특허권 등을 인수해주는 지식재산회수펀드를 통해 기업이 망하더라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