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기대감에 1980년대 준공 아파트 낙찰율 급등

입력 2014-09-12 15: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9·1 대책 발표 이후 1980년대 준공된 아파트의 경매 낙찰가율이 급등하고 있다.

12일 부동산경매정보사이트 부동산태인이 9월(11일 기준) 낙찰된 전국 아파트(주상복합 제외) 671개를 소유권보존등기일 기준으로 분류해 조사한 결과, 1980년대 준공 아파트의 9월 낙찰건은 모두 25개, 낙찰가율은 95.53%로 집계됐다.

지난달(100개, 88.59%)보다 6.94%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1980년대 준공 아파트의 월간 경매 낙찰가율이 95%를 넘은 것은 2009년 9월 이후 처음이다. 9월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은 91.56%로 이보다 낮았다.

소유권보존등기일이란 미등기 부동산을 원시취득한 소유자 신청에 의해 해당 부동산의 등기를 새로 개설하고 소유권을 최초 공시한 날짜다. 통상 아파트 준공 후 사용이 승인된 시점을 의미한다.

서울의 1980년대 준공 아파트는 이달들어 총 6건이 낙찰된 가운데 낙찰가율은 99.95%로 조사됐다. 이는 서울 전체 아파트 낙찰가율(89.96%)보다 10%포인트가량 높은 것이다.

11일 서울 중앙지법에서 입찰된 서울 강남구 일원동 소재의 한 아파트 경매에는 모두 32명의 응찰자가 몰려 감정가(6억5000만원)의 106%가 넘는 6억9180만원에 낙찰되기도 했다. 이 아파트는 1984년 11월에 입주해 올해로 준공 30년째를 맡아 제도개선 후에는 곧바로 재건축 추진이 가능하다.

부동산태인 정대홍 팀장은 "재건축 연한 단축에 대한 기대감으로 1980년대 지어진 아파트가 일반 거래시장뿐만 아니라 경매시장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며 "다만 실제 재건축 가능 여부가 중요한 만큼 대지지분, 단지 규모 등 사업성을 따져보고 입찰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