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윤 “기초생활보장비, 비수급자에게 317억9000만원 잘못 지급”

입력 2014-09-02 14: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닌 비수급자에게 막대한 기초생활보장비를 잘못 지급해 막대한 혈세를 낭비한 사실이 드러났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강기윤 의원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각 지자체가 소득과 재산 기준을 초과하거나 부양의무자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비수급 대상자에게 지난 2010년부터 올해 7월말까지 최근 5년 동안 무려 317억9138만원의 기초생활보장비를 잘못 지급했다고 2일 밝혔다.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급권자가 되기 위해서는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가구별 최저생계비 이하인 경우와 △부양의무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할 능력이 없거나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의 두 가지 기준을 동시에 충족해야 한다.

강 의원에 따르면 연도별로 지난 2010년 26억9242만원(2759명)을 시작으로 2011년 69억 3563만원(5057명), 2012년 89억8169만원(7392명), 2013년 75억9086만원(9761명), 올해 7월말 기준 55억9078만원(5366명)을 잘못 지급했다. 지난해 기초생활보장비 부정수급자는 9761명으로, 2010년 2759명보다 3.5배나 증가했다.

지난 7월말 기준 광역지자체별로 보면 서울은 부정수급자 1606명에게 20억1869만원의 기초생활보장비를 잘못 지급해 전국 광역지자체 중 부정수급액이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경기 8억9358만원(911명), 인천 5억7183만원(423명), 부산 5억1203만원(423명) 등의 순으로 부정수급액이 지급됐다.

서울시 자치구별로는 강북구가 164명에게 2억4294만원을 잘못 지급해 자치구 중 부정수급액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동대문구 1억7318만원(160명), 노원구 1억6772만원(92명), 양천구 1억6297만원(155명) 등 순이었다.

아울러 잘못 지급된 기초생활보장비는 각 지자체가 조속히 징수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올해의 경우 전체 부정수급액 55억9078만원 중 불과 22.4%인 12억5460만원만을 되찾았다. 지난 4년간의 징수실적도 각각 2010년 64.6%(17억3860만원), 2011년 45.7%(31억 7297만원), 2012년 42.2%(37억8890만원), 2013년 46.2%(35억966만원)에 불과했다.

강 의원은 “전국 각 지자체는 수급대상자에게 소득·재산·부양의무자 등에 관해 변동사항이 발생하면 즉시 이를 지자체에 신고할 의무가 있음을 적극 홍보”해야 한다며, “현장실태조사를 강화하는 동시에 ‘실시간 수급자격 확인시스템’을 구축해 사전에 부정수급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초생활보장비의 부정수급은 수급자 및 부양의무자의 재산·소득 변동사항을 신고하지 않거나 고의적으로 은닉할 경우, 또 사실혼·위장이혼, 사망, 군 제대·교정시설 입소 등 세대원 수가 변동됐음에도 이를 신고하지 않았을 경우 등에 발생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