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가계부채 줄 때 한국 연 8%씩 ‘나홀로 증가’

선진국들이 금융위기 이후 가계부채의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에 나선 동안 한국의 가계부채는 매년 8% 넘게 꾸준히 늘었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집계한 회원국 가계부채(비영리법인 포함) 증가율은 금융위기 이후 연 평균 8.7%에 달했다. 칠레(11.9%) 등 일부 회원국과 함께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율은 OECD 상위권이다.

한국은행이 집계하는 가계부채(가계신용)를 기준으로 봐도 2008년 말 723조5000억원인 가계부채 잔액이 지난해 말 1021조4000억원으로 매년 8.2%씩 증가했다.

한국과 달리 대다수 선진국은 금융위기 이후 가계부채 증가율이 낮아지거나 오히려 감소했다.

2008년 말 13조8000억달러인 미국의 가계부채는 금융위기 이후 매년 0.7% 줄어 지난해 말 13조3000억달러다.

같은 기간에 일본도 325조4000억엔에서 311조1000억엔으로 매년 1.1%씩 줄었다.

독일과 영국은 각각 1조5000억유로와 1조4000억파운드에서 1조6000억유로와 1조5000억파운드로 연평균 증가율이 0.5%씩에 불과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