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근로자 1명 노동비용 월 평균 455만원…1.4% 늘어

입력 2014-08-27 12: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증가율 4년만에 최저...간접 노동비용 4.6% 감소 등 원인

지난해 기업이 근로자 1명을 고용하는 데 드는 월평균 비용은 455만원으로 증가율이 4년 만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고용노동부가 상용근로자 10인 이상 기업체 3378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기업체 노동비용 조사' 결과에 따르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은 455만원으로 전년보다 1.4%(6만3000원) 증가했다.

하지만 노동비용 증가율은 최근 4년 만에 최저였다. 2010년 4.0%, 2011년 7.6%, 2012년 3.7%였던 증가율은 작년에 1.4%로 떨어졌다.

노동비용은 기업이 근로자를 고용할 때 드는 돈의 합계로 정액 급여와 성과ㆍ상여금 등 직접 노동비용과, 퇴직급여·복리비·교육훈련비 등 간접 노동비용으로 구성된다.

직접 노동비용은 월 358만5000원으로 3.1% 늘었지만 간접 노동비용은 96만5000원으로 4.6% 줄었다.

노동비용의 구성비는 직접 노동비용 78.8%, 간접 노동비용 21.2%로 전년(각각 77.5%, 22.5%)보다 직접 노동비용 비중이 다소 증가했다.

직접 노동비용 중 '정액·초과급여'는 283만 3000원, '상여ㆍ성과금'은 75만 2000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3.5%, 1.7% 늘었다.

간접 노동비용 중 퇴직급여는 41만3000원으로 12.3% 감소하면서 전체 노동비용 증가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법정복리비용(국민연금·건강보험료·산재보험료·고용보험료)은 30만8000원으로 3.9%, 법정외 복리비용(식사비·학비보조비·주거비)은 21만2000원으로 0.4% 늘었다.

업종별 노동비용의 경우 전기ㆍ가스ㆍ증기ㆍ수도사업이 775만3000원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사업시설관리ㆍ사업지원 서비스업은 214만8000원으로 가장 낮았다.

취업자가 많은 제조업의 노동비용은 522만7000원으로 전체 업종 중 3번째로 높았으며 상승률(2.1%)도 평균 상승률보다 높았다.

300명 미만 기업의 노동비용은 362만3000원으로 1.5%, 300명 이상 기업은 570만7000원으로 1.2% 증가했다.

규모가 가장 큰 1000명 이상 기업의 노동비용(625만4000원)은 가장 작은 10∼29명(329만 7천원)에 견줘 약 1.9배 더 높았다.

고용부는 지난해 노동비용 증가율이 전년보다 둔화한 것은 주로 간접 노동비용 감소에 따른 것으로 퇴직급여 비용과 산재보험료 감소 등 영향이 컸다고 분석했다.

특히 대기업의 노동비용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중소기업 노동비용 상승률이 5년 연속 대기업의 노동비용 상승률을 웃돈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