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사업 확장이 대우의 부실 원인… 의혹론 옳치 않다는 시각도
22일 내용 일부가 공개된 ‘김우중과의 대화-아직도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에 따르면 당시 재계 2위 그룹사 대우가 해체된 가장 큰 원인은 정부의 오판 때문이라는 것. 공개 내용 곳곳에는 DJ 정부의 비판이 신랄하게 담겼다.
김 전 회장은 지난 4년간 신장섭 싱가포르국립대 경제학교 교수와 서울, 베트남 하노이 등에서 20여 차례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신 교수는 이를 토대로 저술한 김 전 회장과의 대화록을 오는 26일 출간할 예정이다. 신 교수는 “지난 15년 동안 IMF 체제에 대해 나름대로 일관되게 비판하며 대안을 제시한 전문가라고 자부하고 있었지만, 나조차도 완전히 잘못 알고 있었던 사실이 있었고, 제대로 알지 못한 일들도 많았다”고 밝혔다.
1967년 김 전 회장이 설립한 대우실업이 모태인 대우그룹은 30여년 만인 1998년 41개 계열사, 396개 해외법인에 자산총액이 76조7000억원에 달하는 재계 2위의 그룹사로 성장했다. 하지만 외환위기 당시 자금난에 시달리다 1999년 8월 채권단에 의해 워크아웃 결정이 내려진 뒤 공중 분해됐다.
김 전 회장은 이 책을 통해 대우그룹의 기획 해체론을 주장했다. 당시 이헌재 금융감독위원장(전 경제부총리)과 강봉균 경제수석(전 재정경제부 장관) 등 경제관료들이 자금줄을 묶어놓고 대우에 부정적 시장 분위기를 만들어 부실기업으로 몰고 갔다는 주장이다.
김 전 회장은 대우그룹 해체의 도화선이 된 대우자동차에 대해서도 세간에 알려진 것과 다른 말을 했다. 1998년 2월 제너럴모터스(GM)로부터 투자를 받아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DJ정부 핵심 경제관료들이 사실과 다르게 대우-GM의 협상이 깨졌다는 말을 하며 투자 유치를 막았다는 것.
더불어 1999년 삼성자동차를 넘겨 받는 대신 대우전자를 삼성에 넘기는 빅딜 추진도 관료들이 방해해 무산됐다고 주장했다. 김 전 회장은 당시 이러한 빅딜을 정부가 강하게 원했고, 삼성으로부터 먼저 제의가 왔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면서 대우 해체의 근본적 원인으로 경제관료들과의 잦은 충돌을 지목했다. 당시 수출로 외환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김대중 대통령을 향한 자신의 조언을 경제관료들이 못마땅하게 여겼고, 감정 대립으로까지 번져 대우에 대한 나쁜 보고서가 청와대 쪽으로 자주 올라갔다고 주장했다.
김 전 회장은 결국 대우는 정부에 의해 해체됐고, 정부는 국민경제에 더 큰 손실을 끼치는 것을 막는다는 명분을 앞세워 대우자동차를 헐값에 GM에 넘겼다고 비판했다.
이번에 출간되는 대화록에 담긴 김 전 회장의 기획 해체설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주장인 만큼 큰 논란이 예상된다. 대우그룹의 해체는 김 전 회장의 무리한 해외사업 추진 등 지나친 사업 확장이 대우자동차의 부실로 이어져 몰락했다는 게 그동안의 정설이었다. 이에 대해 당시를 기억하는 경제전문가와 언론 관계자들의 이견은 크지 않다. 일각에서는 책의 흥행을 위해 대우그룹 해체에 대해 지나친 의혹을 부각시키는 게 불편하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헌재 전 부총리는 2012년 낸 자신의 회고록 ‘위기를 쏘다’에서 “당시 대우를 살리는 길은 구조조정밖에 없다고 시장이 인식하던 때이지만 김 전 회장은 오히려 돈을 풀고 금리를 낮추라고 공개적으로 주문하는 등 정부 정책에 불만이 있었다”고 썼다. 더불어 “정부는 대우 사태가 악화되는 걸 막으려고 애를 썼다”며 “대우는 시장의 신뢰를 잃어 붕괴한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김 전 회장은 2005년 6월 분식회계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된 후 재판에서 징역 8년6월과 벌금 1000만원, 추징금 17조9253억원을 선고받고 복역하다가 2008년 1월 특별사면됐다. 이후 주로 베트남에 머물면서 대우세계경영연구회가 진행하는 글로벌청년사업가(GYBM) 양성 사업에 매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