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해모드 일등 공신은 샤오미와 화웨이?

입력 2014-08-07 10: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 업체들 공세 가속화…삼성전자ㆍ애플 올 2분기 세계 시장 점유율 30%대 추락

삼성전자와 애플이 특허전쟁 마무리 수순에 돌입한 데는 중국 스마트폰 업체의 거센 추격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양사가 소송전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는 사이 중국 업체들은 가격경쟁력은 물론 기술력까지 갖춘 스마트폰을 앞세워 삼성전자와 애플의 ‘빅2’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이에 양사는 소모적인 소송전을 끝내고 새로운 제품과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샤오미는 삼성전자를 제치고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다. 시장조사업체 캐널리스에 따르면 샤오미는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14%의 점유율(출하량 기준)로 1위에 올랐다. 중국 시장에서 20% 이상을 점유하며 지난 2년간 1위를 지켜온 삼성전자는 점유율이 12%로 급락하며 2위로 내려 앉았다. 중국 업체 화웨이와 쿨패드가 공동 2위에 자리하고 있어 2위 자리 유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애플 역시 중국 시장에서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지난 1분기 애플은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샤오미에 밀려 4위를 차지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삼성전자(18%)를 선두로 레노버(12%), 샤오미(11%), 애플(10%)이 근소한 점유율(출하량 기준) 차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애플은 샤오미에 이미 뒤쳐졌고 바로 뒤에서는 화웨이(8%)가 바짝 추격하는 형국이다.

중국 업체들은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지배력을 빠르게 확대히고 있다. 세계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던 삼성전자와 애플의 점유율(출하량 기준)은 올해 2분기 30%대로 크게 축소됐다. 반면 화웨이(6.8%), 레노버(5.4%), 샤오미(5.1%) 등 중국 3대 스마트폰 업체는 점유율을 약 20%까지 끌어올렸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삼성전자와 애플의 점유율 합계(삼성 25.2%·애플 11.9%)는 37.1%에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46.0%)보다 무려 8.9%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이와는 반대로 ‘대륙의 애플’로 불리는 샤오미는 처음으로 세계 시장 5위권 내에 진입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스마트폰 판매량 410만대, 점유율 1.8%에 불과했던 샤오미는 1년 새 판매량과 점유율이 각각 3.6배, 약 3배 확대됐다.

업계 관계자는 “저렴한 가격 정책을 내세운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공세로 향후 스마트폰 평균판매단가(ASP) 내려갈 전망”이라며 “따라서 삼성전자와 애플은 새로운 제품을 통해 판매량을 늘리고 점유율을 확대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